d라이브러리
"카메라"(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과학동아 l2009년 12호
-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국내 최대 실감방송연구센터다(多)시점 카메라와 깊이 카메라로부터 얻은 영상 정보는 물체와 배경을 합성하기 위한 모델링 과정을 거쳐 3차원 영상으로 탄생한다. 호 교수의 연구센터에서는 주로 3차원 시각 영상을 재현하는 부분과 이를 압축하고 전송하는 ...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일의 금요일이 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싫어한 것도 당연했습니다. 결국 국제 고정 달력은 카메라 장비 회사인 코닥에서 수십 년동안 쓰인 것을 빼고는 어느 나라에서도 채택되지 않았습니다.그 뒤에는 ‘세계 달력’도 등장했습니다. 세계 달력은 12달로 이뤄져 있었으며, 1, 4, 7, 10월은 31일 나머지 ...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과학동아 l2009년 12호
- 심해저의 해양샘플을 채취하기 위한 TV 그랩(GRAB)이란 장치도 실렸다. 이 장치는 고해상도 카메라가 설치돼 있어 해저 6000m까지 내려가며 특정위치의 샘플을 채취할 수 있다.자동항법장치로 알아서 찾아간다아라온 호 1층 안쪽 끝까지 들어가자 식당과 주방이 있었다. 항해 내내 전직 호텔요리사들이 ... ...
- 새로운 친구 구별법, 얼굴' DNA'수학동아 l2009년 12호
- 정보는 마치 얼굴의 DNA처럼 쓰입니다.이 기술에 필요한 필수 장치는 영상을 기록하는 카메라와 눈, 코, 입의 위치를 찾는 컴퓨터 프로그램, 그리고 눈, 코, 입 등을 대조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연구에서 눈, 코, 입의 위치를 얼굴 골격과 합성하는 것이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습니다. ...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과학동아 l2009년 11호
- 한다.요즘은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한 화소에 CCD 세 개를 이용하는 방법도 생겼다. 카메라로 들어오는 빛을 처음부터 적색, 녹색, 청색 빛으로 분류한 뒤 각각이 다른 CCD를 거치게 하면 모든 화소에 대한 적색, 녹색, 청색 빛의 양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이로써 좀 더 깨끗한 디지털 이미지가 ... ...
- 얼굴로 말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들어, 사람이 웃는 표정을 지을 때 사진을 찍는 ‘스마일샷’과 같은 기술은 이미 디지털카메라에 적용되었지.이런 기술은 앞으로 더욱 많은 분야에 쓰이게 될 거야. 기계가 사람의 표정을 인식한다면 노약자나 장애인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전제품을 만들 수 있거든. 나아가 표정으로 주인의 ...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위치 정보를 얻는 것과 같은 원리다.김 박사는 “이전 탐사에서는 배가 지나가다 해저 카메라로 흥미로운 영상을 찍어도 다시 그 지점을 찾지 못한 적이 한두 번이 아니었다”며 “이번엔 USBL을 장착해 좀 더 정밀하게 탐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9월 30일 사모아발 쓰나미 비껴가“저기 멀리 ... ...
- 도전!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기상캐스터가 블루스크린 앞에서 예보를 하면, 파란색만 투명하게 만들도록 작동시킨 카메라는 기상캐스터의 모습만 찍어. 여기에 일기도의 영상을 합성하면 마치 기상캐스터가 일기도 앞에서 예보를 하는 것처럼 보인단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슈퍼맨이 하늘을 나는 장면도 만들 수 있고, ... ...
- 사람 살리는 풍선의 변신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진행했다. 그들은 지름이 2m나 되는 커다란 풍선을 헬륨 가스로 채운 다음, 디지털 카메라를 매달아 하늘에 띄웠다. 풍선은 고도 30km 정도의 성층권에 도착했고 결국 풍선을 이용해 지구 사진을 찍는 데 성공했다. 하늘을 나는 일 외에도 풍선으로 이룰 수 있는 꿈이 있지 않을까. 전문가들은 “실제로 ... ...
- 화성 표면의 다각형은 물의 증거!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유럽의 우주행성연구를 지원하는 유로플래닛의 엘 매리 박사는 화성 관측선에 달린 카메라로 화성의 분화구 266개를 관찰했습니다. 분화구는 다양한 모양으로 갈라져 있었는데 다각형의 지름은 70~140m였고 250m나 되는 것도 있었습니다. 다각형 사이의 갈라진 틈새는 너비가 1~10m였습니다. 매리 박사는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