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이라는 확신이 들었다.(조윤 학생의 ‘수학, 그 미묘함과 복잡함의 세계- 케플러의
추측
을 읽고’)유형 2. 수학적인 발견을 담은 글거듭제곱식의 전개식에서 각 항의 계수는 x와 y를 배열하는 방법의 수라고 할 수 있다. x와 y의 지수는 배열해야 하는 x와 y의 개수를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나왔을 거라고 생각된다”며 “경위야 어떻든 수은성분이 세균의 접근을 막았을 거라는
추측
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가오쯔시 연구관과 함께 마왕퇴 미라의 발굴에 참여했던 요우줸퀸(游振群) 박물관 담당 공산당서기관 역시 같은 말을 했다. 그는 “수은은 지금도 많은 학자들의 논란이 되고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뇌 피질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위도 더 넓었기 때문에 발달된 후각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
했다.연구팀은 고대포유류가 현생 포유류로 진화하면서 뇌가 세 단계에 걸쳐 발달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먼저 후각이 발달하면서 냄새에 예민해졌다. 그 뒤엔 몸에 난 털을 이용해 촉각이 발달했다. ... ...
머리 좋아지는 기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좋아지는 걸까. 과학자들은 전류가 신경세포인 뉴런의 대화를 조절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
하고 있다. 뉴런의 대화는 물시계에 비유할 수 있다. 위 그릇에 물이 가득 차 넘쳐야 아래 그릇으로 흐르는 것처럼 뉴런도 전기신호가 55mV를 넘어야 옆 뉴런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 55mV가 바로 뉴런의 역치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한 걸음 더 나아가 양성자의 짝이 되는 반양성자(antiproton, 음전하)도 존재할 것이라고
추측
했다. 지금은 익숙한 용어인 반물질(antimatter)은 이렇게 태어났다. 그러나 정작 디랙 자신도 반전자가 당장 발견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우리는 자연에서 반전자를 찾을 수 있다고 기대해서는 안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되도록 쌓는 ‘면 중심 입방격자’ 일 때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추측
했지. 케플러의
추측
은 수학자들이 최근에서야 컴퓨터를 이용해 증명했을 정도로 매우 어려운 문제였어.그런데 이 방법, 어디서 많이 본 것 같지 않니? 그래 시장에서 과일 장수가 사과나 배, 복숭아 같은 과일을 쌓을 때 정사면체로 ... ...
"수학의 달, 꼭 만들어 주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대표가 나와 결승을 벌인 결과 ‘학자들은 숫자 0이 인도에서 6세기경에 발견된 것으로
추측
한다(O)’ 라는 문제를 5조 대표 박종덕 군(태안초 5학년)이 맞혀 5조가 우승을 거머쥐었다.이어 광신고 김흥규 교사가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의 성질’ 에 대해 강연을 했다. 참가자들은 설탕을 이용해 ... ...
존 밀너, 2011년 아벨상을 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정리. 밀너가 해결한 문제는 폴란드의 위상수학자 카롤 보숙이 제시한 증명되지 않은
추측
으로 매듭이론 분야의 대표적인 미해결 난제였다. 실뜨기 놀이를 할 때 아무리 복잡한 모양을 만들어도 결국엔 하나의 고리로 풀어져 버리는데, 이런 성질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매듭이론이다. 밀너가 ... ...
일본대지진 백두산 분화 촉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통해 밖으로 용암이 나올 수 있다. 1975년 킬라우에아 화산이 이런 이유로 분화했다고
추측
된다.또 다른 이유는 지진파의 영향이다. 큰 지진에서 발생한 지진파가 주변 화산 지각 아래에 있는 마그마 방을 뚫고 지나갈 때 마그마 방을 교란시킨다. 그러면 마그마 내에 녹아 있던 기체가 빠져나오면서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반응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ipRGC가 밝기에 관한 정보를 준다고
추측
했다.20년 전 처음 존재의 가능성이 제안됐을 때 ‘헛소리’라는 반응을 들었던 제3의 광수용세포는 9년 전 그 존재가 확인된 뒤에도 여전히 새로운 사실을 드러내며 놀라움을 주고 있다. 아마도 10여 년 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