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누가 뭐래도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역사적 기록으로 증명된 우리땅 독도는 약 460만~250만 년 전에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돌섬입니다. 이후 수면이 상승하면서 동도와 서도 두 개의 큰 섬과 작은 섬들로 분리됐죠. 독도의 바다는 구로시오 해류에서 분리된 따뜻한 동한 난류와 찬 북한 한류가 만나 영양염류가 풍부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 ...
- [기획] 그것이 알고 싶다, 2022년 새로운 수학 교과서가 온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22 개정 교육과정을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지된 지 6년 만에 이뤄진 일이죠. 교과서 내용은 물론 수업 방식 등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런데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달라질 수학 교과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좀 더 알아봐야겠습니다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몰입도를 높이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법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리도록 설정합니다. 세로 지형은 화면 아래부터 위쪽으로 타일의 높이 간격으로 정해진 개수만큼 이동하면서 타일을 그립니다. 화면에 타일을 그리는 방식은 펜 툴의 스탬프 기능을 이용합니다. 또 스크래치 코드 ②, ③에서는 스탬프 명령어를 사용해 지형 타일을 생성했습니다. 또 다른 ... ...
- 기술검증│인류 지식의 최전선을 시험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선택했다. 속도는 느리지만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소음도 제트 엔진에 비해 훨씬 작다. 프로펠러는 비행체 위의 공기를 아래로 빨아들여 아래로 내뿜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부력이 발생해 비행체가 뜰 수 있다. 물론 프로펠러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비행체 내부에 삽입해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편집자 주이 기사는 『글자 풍경』(유지원 지음, 을유문화사, 2019) 중 ‘글자체가 생명을 구하고 운명을 가를 수 있을까’(p.208-215)를 주로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 결정될 수도 있다”며 “글꼴의 조형미에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관해서는 밝혀야 할 것이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빠르게 우주개발에 뛰어들 수 있었다”고 말했다. 실제 스페이스X나 블루오리진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신 엔지니어를 영입하며 70년 이상의 노하우를 전수 받았다. 고 본부장은 “한국은 누리호를 통해 이제야 국내 기반기술의 초석을 마련하고 있다. 갈 길이 아직 많이 남았다”고 말했다 ... ...
- [인터뷰] “부정적인 조직 문화에 휩쓸리지 않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때문에 여성들은 때때로 마치 경기의 규칙을 모른 채 필드에서 뛰는 선수처럼 여겨진다”며 “서두르지 말고 주변의 사람과 일어나는 일을 잘 살펴서 규칙을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 후배 여성 과학자들이 부정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조직 문화에 휩쓸리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자신이 직접 ... ...
- [우동수비대] 우동이의 일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운영 지침도 개발했어요. 서울대공원은 동물 체험을 금지했고, 에버랜드는 정해진 지침에 따라서만 동물 체험을 해요. 이런 지침의 핵심은 동물에게 선택지를 주는 거예요. 예를 들어 펭귄사에서 사람이 가만히 앉아 기다리면, 펭귄이 원할 때만 사람에게 다가가 만져보다가 지루해지면 떠날 수 ... ...
- [특집] 온라인 수업을 메타버스에서 한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몰입할 수 있는 게 큰 장점이에요. 저는 체험하는 수업과 표현하는 수업으로 나눠서 진행하는데요, 예를 들어 수학 시간에 1km가 얼마나 긴지를 마인크래프트에서 간접 체험하는 수업을 하거나 장래희망을 그리는 등 표현 수업을 하고 나면 아이들의 글과 생각이 풍부해져요. Q코로나19 유행이 ... ...
- [기획] 방사성 오염수 바다와 밥상을 오염시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등을 포함한 오염수 방류에 대한 과학적인 안정성과 파급효과가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 없는 만큼, 일본은 해양방류 계획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독자가 묻는다!일본이 오염수 해양방류는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했다는데 사실인가요? ●인터뷰서균렬(서울대학교 공과대학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