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문
학문
학식
식견
지성
소양
인식
d라이브러리
"
지식
"(으)로 총 3,365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과 취재와 기사를 연결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난 7월호 과학동아 보셨나요? 그동안 열심히 활동해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로 선발된 13명의 친구 이름이 있었답니다.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과학동아 청소년 정기자 임명식을 8월 초에 수원 농촌진흥청에서 합니다. 유전자변형 작물(GMO) 등 우리의 먹거리, 환경과 관련된 생명공학을 연구하는 농 ... ...
반구대암각화에 맹수가 날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➋1680년 12월 16일 독일 뉘른베르크 상공을 나는 유성(소행성). 당시 사람들은 과학
지식
이 부족해 이를 혜성이라고 하였다(독일 뉘른베르크 게르마니체 국립박물관 소장).➌울산 반구대암각화의 탁본(울산대 박물관 소장).]인류 최초의철기,하늘에서 온운석이었다인류 문명의 발전 과정을 말할 때 ... ...
당신은 무엇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아닐까. 그렇다면 이것은 과학일까. 볼 수 없는 것에 도전하는 과학의 힘하지만 인류의
지식
은 끊임없이 ‘본다는 것을 초월한 세계’에 도전하면서 넓어졌다. 도저히 볼 수 없을 것 같은 고차원 공간이나 암흑물질도, 비록 간접적으로라도 증명할 수 있는 실험을 고안한다. LHC와 같은 고에너지 ... ...
통합과학 - 물리현상의 정량적 해석기법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인류는 자연을 관찰하고 분석해 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초월적
지식
을 얻기 위해 17세기부터 사고실험을 떠올리기 시작했다. 단순한 가정으로 출발해 물리현상의 원인이 되는 힘을 찾아 운동을 해석하고 다양한 조건을 추가하면서 실제 물리현상에 가깝도록
지식
을 완성시킨다. ...
수학으로 더욱 화려하게! 분수 디자이너 류경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결정할 수가 없어요. 전기 용량에 맞게 선택해야 하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전기에 대한
지식
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물론 전기 설계를 담당하시는 분이 따로 있지만, 기본적인 정보를 알고 설계를 하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많은 차이가 있어요. 음악도 마찬가지예요. 공연의 질을 높이기 ... ...
원자들이 사랑에 빠졌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인연의 끈을 찍어라3사랑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뭘까요? 외모? 성격? 아닙니다. 과학
지식
? 설마, ‘로맨틱한 호관씨’도 아니고. 바로 ‘인연의 끈’입니다. 로맨스영화 ‘아토믹러브’의 첫 장면은 ‘인연의 끈’에서부터 시작합니다.그런데 인연의 끈은 재질이 참 중요합니다. 재질이 튼튼하지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많은 정보를 가지는 것이 경쟁에서 살아남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미셀 푸코는 정보와
지식
에 더 많이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이 곧 권력이고 이것이 가능한 집단과 아닌 집단 사이에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이것을 개체 내로 적용해 본다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할지도 모를 정보를 ... ...
융합이 나의 연구경쟁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의료 영상 처리 분야는 대표적인 융합 연구 분야로 컴퓨터와 관련된 공학 기술과 의학
지식
이 모두 필요하다. 대학원 입학과 동시에 앞에 펼쳐진 환경은 학부에서 경험했던 환경과 매우 달랐다. 심혈을 기울인 완성도 높은 공학적 연구 결과가 의사들의 임상 적용에 적합하지 않아 전면 수정되기도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관심과 흥미가 많은 학생이 적합하다. 또한 자료구조와 그래픽에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
을 가진 학생이라면 큰 무리 없이 의료영상공학을 공부할 수 있다.분야의 특성상 의료 관계자 등 관점이 다른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함께 연구할 기회가 많다. 각자 전공분야와 배경이 다르기 때문에 중요하게 ... ...
GIST 수시 전형 합격생 인터뷰 - 8개월에 걸친 탐구 열정이 비결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나름의 답을 내놨어요. 이런 습관이 저에게 큰 자산이 됐죠. 과학 공부를 할 때도 책 속
지식
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기 보다 최대한 비판적으로 보려고 노력했어요. 알려진 이론을 배워도 항상 ‘왜?’라는 질문을 붙이면 더 깊은 내용을 알 수 있답니다.”스스로 연구하고 궁금한 것을 해결하기 위해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