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어떻게 하면 리만 가설을 해결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이 문제를 풀기 위해 학자 인생에서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을 만한 화려한 업적을 많이 남기지는 못했지만, 기 교수는 꿋꿋하게 자신만의 발걸음으로 리만 가설을 향해 걸어가고 있습니다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팀에서 하품을 가장 길게 해요. 입을 크게 벌리고 아주 길~게 말이죠. 그 이유는 제가 매우 똑똑하기 때문이에요. 똑똑하면 하품을 길게 한다고요! 정말!따뜻하고 졸린 날엔 시도 때도 없이 나오고, 옆 사람을 보면 꼭 따라하게 되는 하품.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하품의 원인을 밝혀내지 못했어요. 뇌에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실제로 발사대는 발사체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면서, 동시에 연료의 저장과 공급, 발사체 제어 운용 설비 등을 모두 포함해요. 그야말로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대규모 복합 시스템이지요. 따라서 발사대팀은 발사에 필요한 과정 전체를 이해하고, 각 부분의 담당자와 수시로 만나서 상의하고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칼 구스타프 헴펠이 ‘입증’의 정확한 뜻을 이해하려고 만든 ‘까마귀 역설’ 문제예요. 그는 결국 빨간 장미가 ‘모든 까마귀는 검다’를 입증한다고 결론을 내렸답니다. 한편, 이처럼 입증이 갖고 있는 모호함 때문에 과학을 반증 중심으로 연구해야 한다는 운동도 있었어요. 검지 않은 까마귀가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개체 수가 줄어든 것 같아요. 작년엔 전국과학전람회에 이 문제를 해결할 생태 통로를 제안해 특상을 받았답니다. Q 정말 안타까운 일이네요. 그럼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늘어난 곳은 어떤 곳인가요? 조사 결과, 보리밭과 축사 근처에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많았어요. 보리밭은 고랑에 물이 ... ...
- [화보] 신비한 나라의 동물 사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용기를 가졌으면 좋겠어요. Q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제 사진 중에 어린아이와 사자가 함께 걸어가는 사진이 있어요. 아이는 위험하지 않아요. 사자와 함께 용감한 전사가 된다는 의미랍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용기를 갖고 살아가세요 ... ...
- [JOB터뷰] 곤충 덕후, 만화가 되다! 갈로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12번이나 했는데, 그 이유가 그림을 잘 그려서 논문 표지가 예쁘기 때문이라는 거예요. 제가 볼 땐 우스갯소리지만, 그림과 공부가 서로 도움이 되는 건 분명해요. 만화가로서는 곤충이 독특한 소재고, 곤충학자로서는 그림 그리는 능력이 쓸모 있거든요. Q 어과동 독자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Q 소장님의 다음 꿈은 무엇인가요?언젠가는 사람이 화성에 살겠지요. 제가 죽은 다음일 것 같지만요.(웃음) 화성에 가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게 농사예요. 먹고 살아야 하니까요. 그런데 화성은 흙의 성분과 환경이 지구와 완전히 달라요. 식물의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해서 물과 비료를 주는 ...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주고 싶은 마음도 있었답니다. Q 어떤 방식으로 키우나요?식물 공장 담당자는 있지만 실제로는 다함께 농장을 가꿔요. 수경재배 방식을 사용해 자동으로 물과 비료를 주지요. 직접 수꽃과 암꽃을 연결해주며 키워낸 고추나 호박이 열리면 대원들이 엄청 기뻐하죠. Q 남극에서 키운 야채는 ... ...
- Part 5. 농부야, 개발자야? 로봇도 자급자족, 청년 농부 하병욱 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형이 만들고, 로봇 본체는 같이 만들고 있어요. Q 로봇을 개발하는 게 어렵지 않나요?제가 공학을 전공하지 않아서 조금씩 배워가며 하고 있어요. 하루는 로봇이 너무 커서 로봇을 보관할 창고의 문을 새로 짜야했어요. 기왕 하는 거 스마트폰을 이용해 창고 문을 원격으로 열고 닫는 기술을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