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서
상하
d라이브러리
"
위아래
"(으)로 총 3,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 상형문자의 원리로 만들어졌다고?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유럽에서는 빼기로 쓰이던 ÷오늘날 쓰고 있는 나누기 기호÷가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쓰여진 나누기 기호는 또 있다. 바로 ‘:(콜론)’이다. 독일의 수학자 라이프니츠는 1684년 독일의 첫 번째 과학 저널 에서 비율과 나누기를 나타낼 때 이 기호를 사용했다. 하지만 이 기호는 나누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중학교 1학년 수학교과서 일차방정식 단원에서는 단골손님으로 등장하는 수학사가 있다. 13종의 수학교과서 중 무려 10종의 교과서에서 소개하고 있는 디오판토스의 묘비다. 이 묘비에는 디오판토스의 일생을 짐작케 하는 수수께끼가 새겨져 있는데, 수수께끼를 방정식으로 풀면 그가 세상을 떠난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사용후핵연료가 독성을 잃고 안전하게 되기까지는 매우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일부 핵폐기물은 10만 년 뒤에도 남아있다. 인류가 이렇게 오랜 시간을 관리할 수 있을까. 그래서 나온 것이 ‘수동적 관리’다. 사용후핵연료를 100~200년 동안 능동적으로 관리해 비교적 안전한 수준으로 독성을 떨어뜨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사태 초기 가장 첨예한 논쟁거리였다. 전북 고창군 씨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H5N8형 AI가 처음 발견된 직후, 가까운 동림저수지에서 겨울철새인 가창오리가 집단으로 죽은 채 발견됐다. 죽은 가창오리에서 같은 바이러스를 발견한 농림축산검역본부(아래 검역본부)는 전염원이 철새라고 판단했다. ... ...
넥타이를 매는 방법은 몇 가지나 될까?
수학동아
l
2014년 03호
넥타이를 매는 방법은 간단해 보이지만,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많은 남성들이 처음 배운 넥타이 매는 방법을 평생 동안 고수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 넥타이를 매는 방법에도 변화가 필요한 법. 그렇다면 넥타이를 매는 방법에는 몇 가지나 있을까?최근 스웨덴 ... ...
PART1. 백악기 마지막 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백악기 말. 지구는 아직 따뜻하다. 비록 2500만 년 전(기사 시점 기준. 지금부터 9000만 년 전)부터 기온이 조금씩 떨어지고 있고 그래서 백악기 전체 평균에 비해 약 2~3℃ 춥지만, 그래도 인류가 사는 시대보다는 훨씬 따뜻하다. 극지와 열대 사이의 기온차도 적다. 요즘에는 온도가 조금 올라 더 살기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빛조차 빨아들인다는 블랙홀은 실제로 존재하는 천체다. 태양보다 10배 이상 무거운 별이 핵융합 연료를 다 쓰고 나면 중력을 이기지 못해 응축된다. 이때 높은 압력으로 새로운 종류의 폭발이 일어나면서 잠깐 동안 그 밝기가 은하 하나와 맞먹는 초신성이 된다. 이 초신성을 밝히는 연료가 며칠 안 ... ...
상한 머리카락 자르는 게 답이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아침마다 드라이기와 빗을 무기로 머리카락과 전쟁하는 사람이 비단 나만은 아닐 것이다. 나는 햇수로는 4년째 꾸준히 머리를 기르고 있다, 아니 있었다. 최근에 10cm정도 뭉텅 잘라냈기 때문에 과거형이다. 머리색을 옅게 만들기 위해서 탈색을 한 번 했더니 머리카락이 지푸라기 저리가라 상태로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밀린다.따라서 정지비행을 하려면 이 모든 힘의 합이 0이 되게 해야 한다. 양력은 날개를
위아래
로 움직여서 조절하고 추력은 꽁지깃을 이용한다. 특히 황조롱이는 꽁지깃이 부챗살 모양으로 돼 있어 펴거나 접어 시시각각 변하는 바람의 항력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밤의 제왕’ 올빼미의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낮추고 사방을 살펴야 한다. 정 교수는 “필요한 정보가 전방 시야에서 좌우로 40~50°,
위아래
로 30° 정도인 타원 안에 들어오지 않으면 뇌가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내비게이션 위치가 자꾸만 위로 올라오는 이유”라고 말했다.실감형 내비게이션은 앞 유리창에 나타난다. 실제 상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