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낯
안면
겉
표면
머리
용모
화상
d라이브러리
"
얼굴
"(으)로 총 2,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벤져스 대작전 대칭 몬스터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내 아름다운 머리가 많이 헝클어졌네. 어디 거울 좀 볼까? 앗! 잠깐, 아름다운 내
얼굴
을 볼 수 있는 이 거울도 대칭이잖아! 우리가 거울대칭을 놓치고 있었어. 나와 함께 거울대칭의 대표 연구자를 만나러 가자구!저는 최근에 벽횡단 공식에 대해 연구 중입니다. 어떤 다양체가 시간에 따라 움직인 ... ...
사건 X-파일 사라진 수학자를 찾아라!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조합해도 나올 수 있는 몽타주의 개수는 2000조 개 이상이다. 이 정도면 웬만한 범인의
얼굴
은 다 찾아낼 수 있다.최근에는 몽타주를 비롯한 각종 정보가 모두 디지털로 처리되면서 범죄 수사를 위해 수집되는 자료의 양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정보가 많다고 좋은 건 아니다. 정보가 담고 ... ...
Part 1. 튜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개인 용품까지 전시돼 있군요. 테디 베어도 있어요. 어릴 때 갖고 노시던 건가 봐요?튜링 (
얼굴
을 붉히며)어흠, 그…, 그건…. 그러니까 암호 해독기가 궁금하신 거죠?기자 왜 그렇게 당황하시…. 혹시 어릴 때가 아니라….튜링 당시 독일군은 에니그마라는 암호기계를 썼습니다. 3~4개의 바퀴와 ... ...
우리 집을 공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물건 하나하나 꼼꼼하게 관찰한다면 우리는 지구에서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맨
얼굴
을 생생하게 끄집어낼 수 있을 것이다.유명한 사진작가들이 지구촌에 사는 이웃들(그 나라에서는 평균적인 가족이라고 한다)을 찍은 사진이 최근 한국에서 책으로 공개됐다. 1994년 유엔이 정한 ‘세계 가족의 ... ...
Part 2. 생각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거쳐 가장 맞는 답을 찾는다. 잘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기존 인공지능이 엄두도 못냈던,
얼굴
이나 패턴 인식에 쓸 수 있다. 초기에는 큰 인공신경망을 만들면 인간의 행동을 모방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올바른 구조 없이 단순히 신경망의 크기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 ...
손 대면 톡 하고~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야기입니다. 알퐁스 도데의 ‘별’을 읽어보신 분 있나요? 산 속에서 며칠씩 사람
얼굴
을 보지 못하는 젊은 양치기가 뜻하지 않게 스테파네트라는 주인집아가씨와 밤을 보내는 내용의 단편소설입니다. 양치기는 잠든 스테파네트 아가씨를 보며 가장 아름답고 가장 밝은 별이 길을 잃고 자기 ... ...
미술관 옆 화학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얀 빛깔이나 물감’. 사전에 나와 있는 정의다.
얼굴
을 하얗게 만들기 위해 화장품을 바르고 하얀색 동물이 태어나면 상서로운 일이라며 귀하게 여긴다. 화가들도 예외가 아니어서 아름다운 하얀색에 대한 열망을 갖고 있었다. 그런데 물감 속 화학 성분이 때로 화가를 죽음에 이르게 한다. ... ...
6화 폴과 폴의 대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좀 놀랐어.”“탁 보니 알겠던데? 넌 아냐?”폴은 대수롭지 않게 말하는 두 번째 폴이
얼굴
만 같은 완전히 다른 사람처럼 느껴졌다. 그러고 보니 둘은 같은
얼굴
, 같은 키, 같은 목소리였지만 어딘지 다른 데가 있었다. 폴b는 원래 폴과 달리 낯선 곳에서도 별로 당황하는 기색 없이 당당해 보였다. 또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한번 보겠어?”그러더니 뮤클리드는 피타를 우악스럽게 한 손으로 꽉 잡더니 음흉한
얼굴
로 말했다.“피타고라스가 몇 점인지 이제 좀 생각날 것 같지 않나? 빨리 말하라고. 안 그러면 네 조그만 새 친구와 영영 이별할 수도 있다고? 크크크.”문제 ❹ 논리나라로 가는 문을 열어라!폴이 뮤클리드와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뇌의 오른쪽 섬엽의 활동을 스스로 조절하게 하는 실험을 했다. 뇌의 섬엽은 화난
얼굴
이나 역겨운 대상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 자극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뇌 부위로 알려져 있다. 실험 대상에게 섬엽의 활동 정도를 막대그래프로 보여주면서 스스로 섬엽의 활동을 높이는 훈련을 계속했더니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