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필요하다는 뜻이다.신용일 교수는 “이번 실험의 최대 의의는 0.7초 이상 음의 온도를
안정
적으로 유지했다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또 신 교수는 “미시적인 물리분야에서 0.7초 정도면 상당히 거시적인 시간”이라며 “이전까지 불가능했던 실험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실험장이 생긴 것”이라고 ... ...
와이파이는 왜 ‘찬밥’ 신세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데이터 신호가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기지국을 바꿔 가며 통신한다. 지역(셀)을 바꿔도
안정
적으로 끊기지 않고 통신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최성현 서울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셀룰러 통신은 사업자가 주파수 이용권을 사서 중앙집중식으로 통신을 관리하는 데 비해 와이파이는 누구나 ... ...
세상에서 가장 슬픈 향기, 커피로드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했답니다.이런 식으로, 동남아시아와 남미 여러 나라는 유럽의 식민지가 돼 커피를
안정
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맡게 됐습니다. 서양의 자본력과 기술이 식민지 원주민의 싼 노동력과 결합해 이뤄진 이런 대규모 단일 농업 방식을 ‘플랜테이션 농업’ 혹은 ‘재식농업’이라고 부릅니다. 고무나 ... ...
[2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개념이 발달해서 사람에게 직접 실험하는 행위는 거의 없어졌다. 이미 동물실험을 통해
안정
성이 검증된 상태에서 자발적인 지원자를 대상으로만 임상실험을 한다. 그렇지만 아무리 동물이라도 해마다 많은 동물들이 학문과 기술의 발전을 위해 희생되고 있다. 연구를 위한 희생을 무심하게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돼 버리는 것을 ‘불
안정
한 벡터장’이라고 합니다. 카타스트로피 이론에서는 불
안정
한 벡터장이 어떻게 새로운 벡터장으로 변하는지를 다루지요.Q.설명은 들었지만 여전히 어렵네요. 마지막으로 들려주고 싶으신 말은 없으신가요?수학이란 ‘수와 식’으로 대표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는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찍어 분석하고 원격 조종을 받아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기다. 그러나 이렇게 작으면
안정
적으로 날기 어려울 뿐더러 마음대로 조종하기도 쉽지 않다. 그래서 2000년대 이후에는 1m 가량 되는 비행체에 자동비행 컴퓨터를 실어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기를 개발, 군용이나 특수 임무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 ...
BRIDGE. 대한민국 무인기는 ‘트랜스포머’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재난이나 산불 감시 등의 임무를 완벽히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틸트로터 무인기가
안정
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일까.헬리콥터와 비행기를 합쳐볼까헬리콥터의 가장 큰 장점은 아무데서나 뜨고 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비행하는 동안 동력이 많이 소모된다. 위에 달린 로터를 ... ...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스티로폼, 케블라 등으로 최대한 가볍게 만들어 전체 무게가 600kg 정도 밖에 되지 않아
안정
적으로 비행할 수 있다. 헬리오스는 약 30km 상공까지 올라가 비로켓추진 비행기로 가장 높이 비행한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2003년 6월 헬리오스는 하와이에서 6개월 이상 장기 체공하는 비행 시험 ... ...
고독한 우주의 방랑자, 외톨이 행성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두 별 사이의 거리가 멀리 떨어진 쌍성계에 속한 행성은 매우 불
안정
해서 심한 타원 궤도를 돌다가 외부로 튕겨 나갈 가능성이 크다. 행성계에서 일부 행성이 쫓겨나는 것은 상당히 흔한 사건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그런데 무거운 행성은 가벼운 행성보다 쫓겨나기가 더 ... ...
PART 3. DNA, 미래를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세계적으로도 유전자 치료가 점차 RNA 연구로 넘어가는 추세입니다. DNA보다 불
안정
하고 어려워서 그 동안 시도하지 못했던 측면이 있거든요.”DNA를 이용한 생체 나노 소재에 새 장이 열린 것만큼, ‘RNA 바람’ 역시 거세질 것 같다.미생물학은 DNA 연구를 이끈 동력이었다. 최근 미생물의 DNA를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