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야
안계
타이머
이해
지식
인식
견지
d라이브러리
"
시계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완전수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시계
가 발명되었을 때
시계
의 숫자판과
시계
바늘의 도는 방향은 그 이전에 사용했던 해
시계
를 본 따 해의 그림자가 도는 방향으로 정했기 때문이다.(2) ①세 변의 길이를 n-1, n, n+1 이라고 하면 이 삼각형은 다음의 형태가 될 것이다. 삼각형의 사인(sine)공식에 의하면 $\frac{sinθ}{n-1}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로소 공간을 조직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됐다. 14세기에
시계
가 등장한데 이어서 15세기에는 항해장비가 등장해 마침내 대항해시대의 막이 오르게 된다.그러나 부어스틴은 역사는 이처럼 반드시 논리적으로만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고 지적하면서 큰 실수와 사고의 결과로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반드시 남보다 한발 앞서야 성공할 수 있다. 최근에는 반대방향으로 바늘이 도는
시계
가 유행하고, 예전에는 작았던 여자들의 귀걸이가 점점 커지고 있다. 폐품이용 발명으로 경제부국원 일본폐기물(폐품)을 개선해서 이용하는 것도 발명이다. 세상에는 똑같은 물건이라도 그냥 버리는 사람이 ... ...
3. 생체 리듬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별 문제가 없으나 긴장이 풀리거나 밤늦게 자고 아침에 늦게 일어나게 되면 생체
시계
가 2,3시간 뒤로 밀려나고 그 다음날은 다시 24시간 주기에 맞추어 지내야 하기 때문에 무리가 오고 질병이 생기거나 일의 성취도가 떨어지게 된다. 한편 초일리듬으로는 월경주기같은 것이 해당된다.이같은 여러 ... ...
'보다 크게 보다 작게'가 만드는 신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등장했다. 또 얇게하면이라는 생각은 LCD(액정화면)을 이용해 종잇장처럼 얇은 팔목
시계
를 등장시켜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짧게 하면'이라는 생각에는 형태만이 아니라 시간도 포함된다. 현대인들은 누구나 여가를 갖고 싶어한다. 그래서 등장한 발명이 바로 인스턴트 식품이다. 요리하는 ... ...
거울에 비추어본 정보사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오히려 전체 정보의 유통을 크게 방해하여 파국으로 몰고간다. 두개의
시계
보다 한개의
시계
가 더 유용하듯이, 무제한의 정보는 사실상 정보가 아니다. 인위적으로 자신의 정보만을 보호하기위해 쓰레기정보를 흘리는 것도 경계해야 한다.'알리지 않을 권리'는 대중의 합의에 의해서만 확립되는 ... ...
시공을 뛰어넘는 원격체험 TE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필요한 작업대상만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구성한 영상이 펼쳐지기 때문에 설령 현장의
시계
(視界)가 연기나 이슬 따위로 인해 명료하지 못해도 작업에 지장을 받지 않는다. 현장의 생생한 실제 모습은 상황판단의 정보를 주는 면에서는 도움이 되겠지만 밤이 되어 주위가 어둡거나 화재 등으로 ... ...
"공고에서 과학교사가 할일이 있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학생들, 공을 차는 학생들, 활기차게 움직이는 학생들 속을 지나 교무실을 찾아가며 나는
시계
탑을 쳐다보았다. 8시 20분. 언제 돌이켜보아도 지금의 학교로 발령을 받아 첫출근을 하던 아침은 끼니도 못챙기고 새벽 전철에 몸을 실어야 했던 그 이전 몇 년 간의 인문계 고등학교 출근길과는 견줄 수 ... ...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이동하는 방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만일 인류의 문명이 지구상 남반구에서 시작됐더라면
시계
방향은 틀림없이 반대로 정의됐을 것이다(이 서술도 결코 이해하기가 쉬운 것은 아니다).이제 천체의 시운동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다음과 같은 예문에서 천문학적으로 틀린 곳 다섯군데를 모두 찾아내 ... ...
인조광선으로 마음의 병을 치유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겨울의 해가 너무 짧다고 느낀다. 그래서 아이슬랜드인이나 그밖의 유목민족들처럼
시계
의 시간을 바꿔놓기도 한다.SAD로 고통받고 있는 사람이 국내에 몇명이나 있는지는 조사돼 있지 않지만 프랑스에서는 전체인구(5천5백만명)의 5%가 이 병을 앓고 있다고 한다. 결코 적지 않은 사람이 SAD환자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