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결
순정
청결
깨끗함
청정
진짜
증류수
d라이브러리
"
순수
"(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좋아하는 과목을 집중적으로 하면서…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읽는 가운데 물리에도 호기심이 생겨 장차 과학자가 되겠다는 꿈을 가졌다.자연과학에의
순수
한 관심이 중학교때부터 차츰 식어갔다. 억지로 시험치기 위해 하는 공부는 정말 견디기 힘든 것이었다. 하지만 고등학교때 물리선생님은 다시 나에게 흥미를 북돋워주었다. 특히 우리가 경험하는 많은 ... ...
과학기술 선진국으로 한발짝 가까이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그리고 지구물리학분야 연구에 들어 갔다. 세계에서 18번째로 개설된 세종기지는
순수
한 우리기술과 장비를 이용하여 막대한 자금과 복합적인 첨단기술 그리고 유능한 연구인력이 필요한 남극대륙 개발에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여 참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사상 중요한 이벤트를 ... ...
미·소보다 강력한 원자로 발사계획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필요하다.현재 스타워즈와 관련된 것만도 수백개의 원자로가 추가로 필요하다. 여기에다
순수
한 우주탐험을 위해서 또 상업용 위성의 동력공급을 위해서 원자력은 필요한 것이다.과학자들은 현재로서는 원자력이 우주에서 최선의 동력이라는데 동의하고 있다. 태양열같은 동력을 이용할수도 ... ...
라보아제의 죽음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새로운 과학단체인 '국민학회'(National Sociery)를 만들자고 주장했던 것이다.이들의 의도는
순수
했지만, 실제 결과는 불에 기름을 붓는 격이었다. 장인과 기술자들은 아카데미 과학자들이 구체제에서 누렸던 특권을 다시 찾으려 한다고 명렬히 비난했다. 그때까지 아카데미에서 소외되었던 과학자들도 ... ...
기초과학·경계학문이 가능성 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노벨과학상을 수상한 '타운스'(C.H.Townes)는 단언하길, "아무리 훌륭한 과학자일지라도
순수
과학의 연구와 응용의 관계를 예측하는 사람은 없다" 고 했다. 그리고 과학자의 특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데에 있다고 했다.예컨대 20세기 최대의 발명인 전자계산기 레이저 등에는 뚜렷한 ... ...
가정·사무실에 요긴한 첨단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최첨단을 자랑하는 오디오 페어에 등장하고 있었다.이와는 달이 수입 오디오 쇼에서는
순수
한 음향 재생 기기들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우리에게 생소한 회사들의 제품도 등장, 전 세계의 오디오 동향을 어느 정도 알게 해 주었다.이번 전자전을 돌아보면서 느낀 것은 모든 첨단 전자 기술들이 ... ...
일부러 선택한 '고생문'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합리성, 객관성, 엄밀성 등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것이다. 또 세상 물욕과 떨어져 있는
순수
한 학문내용은 그것을 공부하는 나 자신을 자랑스럽게 느끼게 해준다.우리가 추구하는 진리는 결코 인간과 유리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현대 사회의 소외가 거론될 때, 그 원인 중의 하나로 과학이 꼭 ... ...
사상 처음으로 상업용 로킷 발사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10월1일 미국에서 역사상 처음으로
순수
상업용 로킷이 발사된다.이 로킷은 14피트길이의 자그마한 것이지만 개인회사에서 상업적 이익을 위해 발사한다는점에서 상징적 의미가 크다고 뉴욕타임즈가 최근 과학판 톱기사로 보도했다.이프라임 항공사(Eprime Aerospace Corporation)가 띄울 이 로킷의 ... ...
홍일점의 외로움은 견뎌내며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하나는 내가 공학이란 학문에 대해 얼마나 잘못 이해하고 있었나 하는 점이다.공학이란
순수
과학과는 실로 엄청난 차이가 있는 것이다. 물론 기본적으로 물리적 이론에 바탕을 두어야 하지만 공학은 실제적 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이미 이론화 되어 있는 물리적 사실에 경제성을 부여하는 ... ...
새출발 다짐하는 소련의 과학계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물리학 관계의 15분야 중 하나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다.노보시비르스크 대학은
순수
물리학 분야보다 응용물리학에 관계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디칸스키 교수는 최근 몇년 동안 사람들의 관심을 넓히기 위해 생물물리학 교과과정을 만들자는 주장을 계속해 오고 있다. 물론 이 교수는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