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배고픔을 느끼는 거예요.이후 뇌는 위와 장 같은 소화기관이 움직이도록 만들어요.
새로운
음식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거예요. 이때 장 속에는 공기가 주로 차 있기 때문에 움직이면서 ‘꼬르륵’ 소리가 나는 거랍니다.배가 고프지 않아도 장에 공기가 많이 차 있으면 꼬르륵 소리가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제시함으로써 기하학 분야의 역사적 난제인 매끄러운 4차원 푸앵카레 추측에 대한
새로운
단서 역시 제공했다고 할 수 있죠. 매끄러운 4차원 다양체가 2개 이상 존재하는 것을 밝힌 공로로 1986년 필즈상을 수상한 사이먼 도널드슨 역시 “기하학적 연구의 주요 돌파구이며 다양한 관련 연구를 이끌 ... ...
에디터토크 2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Y: 기존에도 재밌고 감동적인 작품을 과학동아에도 여러 번 발표한 작가. 앞으로는
새로운
젊은 작가의 작품도 다양하게 만날 수 있다.편: 잘 했다. 칭찬해.지나가던 조혜인 기자: (이 꽉 물고) 편집장, 혼자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영장류나 개, 돼지 등을 이용한 추가 실험이
새로운
결론을 낼 수 있을지 회의적인 시선도 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환경노출 분야 조사를 맡아온 박동욱 한국방송통신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는 “추가로 동물실험을 진행하더라도 역시나 불확실성의 ... ...
[이공계 잡터뷰] 세상에 없는 꽃 만드는 화훼연구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등 기능성 화훼연구도 이뤄지는 만큼 꽃의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허 부팀장은 “
새로운
품종을 만든다는 것은 생리학, 유전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 실제 현장에 기여하는 일”이라며 “화훼연구자가 된다면 내가 만들고, 내가 이름 붙인 품종이 사람들에게 널리 이용되는 색다른 ... ...
[특집] 딥러닝의 모든 것은 ‘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딥드림’은 이미지 인식 AI를 이용해 이미지의 경계나 특정 패턴을 찾아낸 뒤
새로운
화풍으로 바꿔줘. 그 결과물이 마치 꿈을 꾸는 듯 추상적이라 a딥드림이라는 이름이 붙었지. 딥드림은 이미지의 경계나 특정 패턴을 더 잘 찾기 위해 수백만 개의 이미지를 딥러닝으로 학습했어. 딥드림이 그린 2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8일 김민준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나노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 ...
멸종의 과거 딛고 펼친 흰 날갯짓, 황새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데 100% 찬성했다. 김 연구원은 “길조인 황새를 들여오는 반가움과 황새로 인해 마을에
새로운
풍경이 펼쳐질 거라는 희망 때문이었다”라며 “우리 연구자들도 마을 분들 덕분에 황새가 산다는 마음으로 신뢰 관계를 쌓고 있다”고 말했다.“만황이가 둥지를 튼 광시면 장전리에는 ‘파란 지붕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우리우리스 종족의 지배를 받던 수많은 다른 종족들이 독립 운동에 나서며 은하계는
새로운
시대로 진입하게 됐다. 이것이 바로, 은하계 역사의 전근대와 근대를 가르는 중요한 기점으로 자리 잡은 우리우리스 대분열이다.지금 별님 아파트로 돌아온 고양이는 사람 손이 닿기 어려운 축대 높은 곳에 ... ...
[이달의 책] 2년 만에 듄이 돌아왔다 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방대한 분량의 이 소설은 획기적이었다. 특히 행성 간 봉건제국이라는 독특하지만
새로운
설정으로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SF 거장 아서 C. 클라크는 “‘듄’에 견줄 수 있는 건 ‘반지의 제왕’ 외에는 없다”고 극찬했다.듄은 수많은 SF 작품에 영감을 불어넣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조지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