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정통한 베테랑 연구원 7명에, 2012년 가을부터 2015년 여름까지 입사한 30대 초중반 석·
박사
연구원 10명으로 이뤄졌다. 이 10명의 새내기 연구원들은 대부분 엑체로켓엔진 시험설비 개발 같은 대형 사업이 처음이었다. 1초에 연료 100L를 100기압으로 공급 팀 업무는 주로 연구보다는 시험설비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맨 마지막에 위치한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를 보고 염기의 순서를 읽었습니다. 생어
박사
는 이 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오파지(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DNA를 정확하게 해독했습니다. 이를 ‘생어 해독법(Sanger Sequencing)’이라고 부릅니다. 생어 해독법으로는 한 번에 염기 300~1000개를 정확하게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특정 소수보다 크면 추측이 옳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이를 밝힐 근거가 부족했다.
박사
과정 지도 교수의 추천으로 이 문제에 도전한 윌리엄슨 교수는 7년 동안 매달린 끝에 특정 소수보다 큰 소수 중에서도 추측이 틀린 경우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이런 소수를 찾는 방법도 알아냈다. “200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별무리 속에 많은 양의 암흑물질이 섞여 있을 거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답니다. 오헤어
박사
는 이 현상에 ‘암흑물질 허리케인’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 암흑물질 허리케인은 초속 500km의 속도로 수백만 년 동안 지구를 통과할 예정이에요. 지구는 암흑물질 허리케인에 휩쓸려 큰 재앙을 ... ...
[과학뉴스] 태아 성별 결정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불리는 조절 유전자에 의해 작동한다. 브리타니 크로프트 호주 머독아동연구소(MCRI)
박사
과정 연구원 등 연구팀은 SOX9 유전자의 발현을 돕는 증강인자 3개를 새롭게 발견했다. 그리고 XX염색체를 가졌지만 일반적인 여성과 달리 정소가 발달한 환자의 염색체에서 세 개의 증강인자가 있다는 사실을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지구과학및자원학원 교수 등 해외 고생물학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됐다. 리다 씽
박사
는 이렇게 작은 것이 공룡의 발자국일 리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후 사진 분석을 통해 발자국 화석이 공룡의 것임을 확인하고 함께 연구를 시작했다. 이렇게 나온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 ...
[섭섭
박사
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화면에는 큰 폭의 그래프가, 약하게 흔들자 작은 폭의 그래프가 나타났지요. 섭섭
박사
님은 “친구들이 책상을 흔들면 지진계에 달린 자석이 흔들리면서 코일에 전류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해주셨답니다. 수업에 참여한 김승민 친구는 “이번 수업을 통해 지진계의 원리를 이해하게 됐다”며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등장하는 AR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는 유진우가 눈에 끼는 스마트 렌즈다. 공학
박사
이자 IT 투자회사 대표인 유진우는 “렌즈 없이는 게임을 개발해봐야 소용없다”고 말한다. 드라마 속 스마트 렌즈가 구현하는 AR 기술은 현실에서는 요원하다. 이길행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 기하서 교수가 리만 가설을 본격적으로 파고들기 시작한 건 1997년입니다.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마치고 돌아와 김영원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와 한 차례 공동연구를 성공적으로 마친 직후였지요. 김 교수가 10년 정도 고민한 문제를 기하서 교수가 함께 풀기 시작하면서 3~4개월 만에 해결하자 ...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때문’이라고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빈센트 버리어
박사
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측정한 GJ 3470b 행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실제로 이 행성이 빠른 속도로 증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GJ 3470b는 20억 년 만에 전체 질량의 1/3을 잃어버렸으며, 이는 비슷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