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d라이브러리
"
바이러스
"(으)로 총 1,815건 검색되었습니다.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C제로를 방출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유전정보로서 단쇄(單銷) RNA를 가진 종양(腫瘍)
바이러스
의 총칭 역수값이나 계산 명령을 나타내는 일련의 2진숫자의 기억장치 1963년 F 자코브에 의해 제창된 염색체 복제의 조절 기구에 대한 작업가설 자율적 복제 단위를 레플리콘이라 한다 예컨대 대장균의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리니엔펠트가 1925년에 출원(出願)한 특허에 있다 세균에 감염하여 그 안에서만 증식하는
바이러스
1915년 영국의 F W 트워트가 발견했다그와는 별도로 1917년에 프랑스의 데렐이 발견하여 명명했다현재는 거의 모든 세균에 대응하는 박테리오파지가 ... ...
태양계의 미답지로 가는 여행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예컨대 고등 동식물의 염색체의 주성분인 뉴클레오히스톤·뉴클레오프로타민과 DNA
바이러스
가 있다 부신피질호르몬의 하나 분자량 33047, 녹는점 141~142℃ 당질 대사에 관여한다부신피질에 있는 스테로이드-21-히드록실라아제(steroid-21-hydroxylase)가 프로게스테론에 작용한 결과로 만들어지며, ... ...
PART2 GEOSS 꾸려 수시로 지구 '건강검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어떻게 변할지, 조류독감이나 미국에서 현재 발생하고 있는 뇌염의 일종인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가 언제 발병할지 등을 예측하게 된다.최근 한국도 이런 움직임에 발맞춰 발빠른 대응을 하고 있다. 이산화탄소 배출량 세계 9위로 기후변화의 제1 원인인 지구온난화에 ‘기여’하고 있는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높고 냉각속도가 알맞으며 냉각효율이 양호해야 한다 담배모자이크병을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
1892년 D I 이바노프스키가 발견했고 이와는 별도로 1898년 M W 비제린크도 발견했다당뇨병이 진행되는 동안 탄수화물 및 지방의 대사장애(代謝障碍)를 일으켜 중추신경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 ...
특집3. 사람 살리는 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면역거부반응 문제가 해결됐다. 그러나 다른 메커니즘으로 일어나는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등은 장기 이식 분야의 숙제로 여전히 남아있다.당사슬이 생체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글라이코믹스 기술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같은 생물 관련 산업에 응용할 수 있다.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침팬지 게놈 지도에서 진화의 증거들이 다수 나왔으며, 조류독감에서 진화한 인간독감
바이러스
도 진화의 사례로 설명됐다. DNA의 작은 변화가 엄청난 종의 분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미국에서 창조론의 변형인 ‘지적설계론’이 종교인들에게 호응을 얻는 현상과 대조적이다.02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처음으로 과학동아에 실렸다. 글을 쓴 기자조차 처음에는 ‘computer virus’가 진짜
바이러스
인지 고민했다.‘에이즈’와 ‘체르노빌 원자로 폭발사고’(1986년)도 80년대 후반 여러 차례 다룬 기사였다. 체르노빌 사고는 안전하다고 믿었던 원자력 발전의 위험성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 1987년 10월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기술을 ‘유전자 치료’라고 한다. 이때 유전자를 몸 안으로 운반하는 운반체 역할을
바이러스
가 대신하는 것이다.인제대 의생명공대 김연수 교수는 “
바이러스
운반체를 사용하면 유전자 치료 효율이 좋다”며 “에이즈
바이러스
(HIV)와 유사한 렌티
바이러스
가 최근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같은 ... ...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유 있는 생체 반응의 하나다. 무분별하게 해열제를 복용하면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
의 활동을 억제하는데 오히려 역효과를 내 발열 시간이 길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감기에 걸렸을 때 열이 38.5℃ 이상을 넘지 않는다면 인위적인 대증 요법을 써서 열을 내리는 것은 치료에 좋지 못하다고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