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옹이
혹
관절
뼈마디
골관절
매듭
귀절
d라이브러리
"
마디
"(으)로 총 1,65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있는 우주비행사와 화상통화를 하려면 코프체프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들의 첫
마디
는 '돈' 이었다.1995년 발레리 폴랴코프 박사는 4백38일 동안 미르에 머물러 최장 우주거주 신기록을 세웠다. 그를 만나려면 1천달러를 내야한다는 것이 스피린의 설명이다. 또한 현재 미르에 탑승하고 있는 ... ...
2. 카오스 이론으로 스트레스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우리 몸의 안정한 상태를 위협하는 모든 자극은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친구의 말 한
마디
가 스트레스가 돼 앓아 누울 수도 있는 것이다.또 자극을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스트레스가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성취 욕구가 강하고 시간 관념이 정확한 사람은 작은 일에도 스트레스를 ... ...
몸에 숨겨진 성적 신호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교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체위를 나무에 매달려 있는 동안에도 지속할 수 있다. 한
마디
로 성교 체위의 다양성 측면에서는 오랑우탄이 켤코 사람에게 뒤지지 않는다.페니스의 진화를 가장 설득력 있게 설명한 것은 정자경쟁 이론이다. 난자를 남보다 먼저 차지하기 위해서는 정자를 가급적이면 질 ... ...
외계인의 습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아무런 신호도 보내지 않았다.그러자 강경파가 힘을 얻기 시작했다. 그들의 주장은 한
마디
로 외계인도 ‘별 거 아니다’였다. 우리에게는 미사일, 레이저 같은 첨단 무기들이 얼마든지 있다는 것이었다. 어쨌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각국의 군은 일급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었다.대화의 시도냐 선제 ... ...
권위의 상징 문장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표현된 문장의 대표적인 예는 영국의 여왕장이다. 이 복잡한 문장의외형적인 특징은 한
마디
로 ‘중세 기사의 모습’이다. 여기에 다양한 의미를 담은 상징물들이 곳곳에 숨어있다. 이 상징물들의 의미는 영국의 성립 과정을 표현한다.문장의 중심에 방패가 있다. 방패 위에 기사의 투구가 있고, 투구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궁극적 목표가 있다면 아마 그것은 통일장이론의 완성일 것이다. 통일장이론이란 한
마디
로 말하면 ‘모든 것을 설명하는 이론’(Theory of Everything)이다. 그런데 이 이론은 하나의 이론이라야 한다. 그러므로 이것은 궁극적인 최상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론은 존재할 수 있을까? ... ...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치유의 손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그의 훌륭한 조연 내지 엑스트라다. 조력자들은 부흥사 앞을 지나가면서 그의 외침 한
마디
와 접촉에 치유돼 감사의 기도를 외친다. 그러나 사지가 마비되고 중풍을 앓고 있는 ‘진짜 환자’들은 청중석 뒷면에 위치해 무대 위에서 벌어지는 극적인 장면을 찍는 사진을 빛내줄 뿐이다.그럼에도 ... ...
② 자연요법7: 카이로프랙틱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있고 아래로는 골반의 천추에 고정돼 있다. 그런데 척추의 정상적인 구부러짐과 24개
마디
의 움직임, 그리고 가슴뼈와 사지 관절의 움직임은 뇌를 포함한 중추신경계의 상태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두발로 서는 인간과 네발로 기는 동물의 뇌 크기를 비교하면 이런 상관관계가 명확해진다. 네발 ... ...
페니스는 어떻게 진화했나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것이다.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동물은 곤충류 따위의 절지동물이다. 몸이 작고 여러개의
마디
로 이루어진 곤충은 종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정도로 독특한 생식기관을 갖고 있다. 예컨대 실잠자리의 페니스는 국자처럼 생겼다. 암컷이 여러 수컷의 정액을 몇개월이고 몸안에 저장할 수 있기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접근해 보고싶은 사람에겐 '스티븐호킹의 새로운 블랙홀'을 권하고 싶다. 이 책은 한
마디
로 블랙홀에 대한 교과서다. 또 블랙홀이 궁금할 때마다 펼쳐보는 참고서로서 훌륭한 책이다. 중학교 수준의 수학 실력만 있으면 직접 풀어보면서 블랙홀과 관련된 과학의 맛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친절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