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준이었는데, 이세돌에게 무턱대고 도전장을 내민 알파고가 궁금해 ‘네이처’에 공개된 알파고와 판 후이 2단의 기보를 살펴봤다.알파고와 판 후이, 둘 다 필자보다 기력이 세다는 것을 금방 느꼈다. 알파고는 주로 전투보다는 타협하면서 균형을 잡는 쪽으로 행동했고, 이 과정에서 상대가 ... ...
- 1인용 이동수단이 뜬다! 스마트 모빌리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2001년 12월, 미국의 발명가 딘 카멘이 ‘T’자 모양으로 생긴 세그웨이를 만들어 세상에 공개했지요. 당시 세그웨이를 처음 본 사람들은 모두 깜짝 놀랐어요. 몸을 아주 살짝만 기울이면 기울어진 방향으로 움직이고, 다시 몸을 똑바로 세우면 균형을 잡은 채로 멈춰 서 있는 세그웨이가 신기했거든요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천적이 오는지 경계하고자 뒷다리로 발딱 일어서서 보초를 선다. 마치 ‘무한도전’ 공개수배 편에서 분식을 먹으면서도 형사가 오지 않나 경계를 늦추지 않는 유재석처럼 말이다. 미어캣의 이러한 경계 태세는 무리 안에 새끼가 있을 때 더 자주 나타난다는 사실이 최근에 확인됐다. 즉 어쩌다 보니 ... ...
- [News & Issue] 태양계에서 가장 거대한 얼음 화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호가 촬영한 명왕성 남극의 화산 ‘라이트몬스(Wright Mons)’의 사진을 1월 15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라이트몬스는 너비가 약 160km, 높이가 4km로 지구에서 가장 높은 에베레스트산보다 4.5배 더 높다. 전문가들은 라이트몬스 가운데 움푹 파인 지점이 분화구로 보이며, 이것이 최근까지도 활동한 ... ...
- [News & Issue] ‘알파벳’이 알려주는 약 제때 먹는 법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시스템은 약을 꾸준히 복용해야 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유용할 전망이다. 특히 함께 공개된 혈당 측정용 스마트 콘택트렌즈와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현재 구글과 세계적인 제약회사인 노바티스가 공동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가운데 절반인 네 번이 북한의 소행이다. 세계의 따가운 눈총 때문인지 실험도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하고 있다. 특히 지난 1월 6일 벌어진 네 번째 핵실험에 대해서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추측이 난무하고 있다. 이번 4차 북한 핵실험에 대한 의혹 세 가지를 짚어봤다. 1.핵실험, 어떻게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나노 크기로 만든 철가루를 엔진에 넣어 폭발시키겠다며 금속 연료용 엔진의 개념도까지 공개했다. 그러나 연구는 실패했고 후속 연구도 모두 사라졌다. 접촉을 시도해 봤지만 현재는 연구 책임자마저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성 교수는 “비슷한 시도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원하는 출력을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편의 체험형 과학기사로 승화시켰다. 드러내기 쉽지 않은 일이었을 텐데, 이를 용감하게 공개하고 과학과 의학의 관점에서 되짚어 준 덕분에 울림이 큰 기사가 나올 수 있었다. 최 기자는 ‘몸으로 하는’ 실험을 몇 개월에 걸쳐 또 하나 마쳤다. 다음 달에도 기대하시라.송준섭 기자와 이영혜 기자는 ... ...
- [News & Issue] 그물 쳐 드론 잡는 ‘안티 드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교수는 ‘로봇 매사냥(robotic falconry)’이라는 제목으로 1월 3일 유튜브에 새로운 드론을 공개했다. 영상을 보면 6개의 회전날개로 비행하는 드론이 그물을 발사해 12m 떨어진 거리의 상대방 드론을 포획한다. 라스트가 교수는 이 포획용 드론을 테러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
- [지식]P일까, NP일까? 그래프 동형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어떤 상수라도 기존 결과를 훨씬 뛰어넘는 매우 놀라운 결과가 됩니다. 논문은 인터넷에 공개됐지만 전문가의 검토를 거친 것이 아니므로 좀 더 기다려봐야겠지만요.밀레니엄 난제, P VS NP2000년 클레이 수학재단에서는 수학의 어려운 미해결 문제 7개를 뽑아 발표하면서 그 중 어떤 문제든 푼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