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내
수로
공동
개울
강철
소매
하천
d라이브러리
"
강
"(으)로 총 2,035건 검색되었습니다.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북한을 잇는 경의선이 개통되고 경원선이 연장되면서 북한의 라진, 선봉을 거쳐 두만
강
하구를 통해 러시아 연해주까지 철도가 연결될 것이기 때문이다. 녹둔도가 조선의 개척정신을 상징하듯 이 지역에 대한 우리의 관심과 개척도 계속해야 할 것이다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어때요? 정말 바다의 제왕이라 부를 만큼 위풍 당당한 거북선의 모습이지요. 임진왜란 당시 그 무서운 모습 때문에 왜군들이‘귀선(귀신의 모습을 한 배)’이라고 부를 정도였답니다.이렇듯 거북선은 우리 후손들에게 임진왜란 때 왜군들을 혼내 줬던 무서운 철갑선으로 여겨지고 있는데요. 사실 ... ...
공기를 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깨끗한 공기와 함께 하려면오염된 공기는 우리를 아프게 해요. 깨끗한 공기와 함께 건
강
하게 살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요.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 알아 보고 함께 실천해 봐요.★매연을 줄이자★자동차의 이용을 줄여 매연을 줄이는 것도 중요해요. 하지만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을 수는 ... ...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발생할 수 있다. 교정치료 중에 충분히 주의를 기울여 관리하면 치아와 잇몸을 평생 건
강
하게 사용할 수 있다.반드시 지켜야 할 7 계명1. 양치 습관은 필수! 교정장치 주변에 음식물이 부착돼 충치가 쉽게 생긴다.2. 오징어, 얼음, 껌은 피하자 질긴 음식을 씹거나 딱딱한 것을 깨물면 장치가 망가질 수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저합금
강
· 주철 등의 금속 조성을 문제시할 때 아주 중요한 성분이며 그 형태 · 분포는
강
철 재료의 성질을 크게 좌우한다산화세슘과 은으로 된 복합음극(複合陰極)을 사용한 광전관 감광곡선은 대체로 파장 8,000 · 3,500의 두 곳에서 최고이다감도는 높고 백열전구 1lm(루멘)에 대해 20~5 ... ...
돌이 흘러
강
이 된 만어산 종석너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경남 밀양시 우곡리에서 좁고 험한 산길을 구비 돌아 오르면 만어사가 나타난다. 해발 670m인 만어산 자락에는 돌이 흘러
강
을 이룬다.절 입구 동쪽 아래로 사람 크기에서 ... 돌
강
을 비롯해 대구 비슬산과 부산 금정산 등 우리나라의 화
강
암 산지에 발달한 돌
강
은 모두 이렇게 만들어졌다 ... ...
태권V 광자력 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가상물질을 매질로 사용해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정했다. 광자력 빔이 태권V의
강
력한 무기로 쓰일 수 있는 이유는 ‘자바늄’의 에너지 변환효율이 다른 물질에 비해 월등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상 물질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빔의 파장을 적절히 조절해 사막 아래의 기지도 파괴할 수 있을 것이다 ... ...
발해인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흔쾌히 승낙했다.김 교수팀은 혈액이나 머리카락에 비해 추출이 쉽고 거부반응이 적은 구
강
상피세포를 채취하는 방법을 택했다. 김 교수팀이 미토콘드리아DNA(mtDNA)와 Y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우데게는 한국인 집단과 적어도 30%의 유전적 동질성을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 교수는 “우데게는 ... ...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유관순 열사는 일제
강
점기에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모진 고문을 견디며 옥중에서 숨을 거두었다. 썰렁 홈즈의 눈에는 눈물이 흘러 내렸다. 무언가 말할 수 없는 뜨거운 것을 가슴에 느끼며… ... ...
한눈에 보이는 생명의 신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죠. 엄마에게 영양분과 산소를 받던 탯줄을 자르고 아기의 건
강
상태를 체크한 뒤 엄마의 품에 안기면서 아기는 세상과의 만남을 시작하게 됩니다. 아기가 엄마의 몸에서 빠져나오기 위해 자궁이 수축할 때 엄마는 많은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보통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