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그러나 망원경에 눈을 대기만 하면 그 눈은 독수리의 눈으로 변했다. 유명한 천문학자
중
눈이 나빴던 근시 천문학자는 오직 두 사람이다. 한 사람은 요하네스 케플러로, 그는 시력 때문에 관측보다 계산과 이론으로 명성을 얻었다. 반면 도즈는 근시임에도 망원경을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한 달 수입에서 지출한 돈을 빼면 남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즉 지출한 돈과 저축하거나 투자한 돈을 합한 것이 그 달의 수입이다. ... 입증됐다. 파울리는 배타원리로 1945년 노벨물리학상을, 프레드릭 라인스와 마틴 펄은
중
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1995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 ...
개미는 무엇으로 사는가 - 앤트워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특수한 젤로 만든 개미집을 고안했다. 이 젤은 영양분과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우주 비행
중
에 별도의 음식을 개미에게 줄 필요가 없다. 또 웬만한 충격에도 문제없다.개미를 몇 마리 잡아 앤트워크에 넣어보자. 작은 개미보다는 곰개미나 왕개미처럼 덩치가 큰 개미들이 더 멋진 집을 짓는다. 몇 ...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이러한 고사리의 전체적인 모양이 각각의 가지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난다. 즉, 가지 또한
중
심 줄기 양쪽으로 돋아난 작은 잔가지로 이루어진다. 잔가지도 아래쪽에서 가장 크고 위로 갈수록 작아지는 삼각형 모양이다. 큰 고사리 줄기 안에 그와 닮은 작은 고사리 줄기들이 들어있는 셈이다. 내 안에 ... ...
뒤죽박죽 백설공주 구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난쟁이깨졌던 마법거울을 다시 맞추고, 독사과도 찾아 냈다. 백설공주를 지키는 난쟁이
중
의 가짜는 동화나라 경찰에게 붙잡혀 갔다. 다시 되돌아온 백설공주 이야기. 하지만 이번 사건을 일으킨 악당‘아이드리 시러이’ 를 붙잡지는 못했다. 소문에 의하면 또 다른 음모를 꾸민다고 하는데…. ... ...
스너피 여자친구 보나, 피스 탄생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복제 때는 대리모 개 123마리에 수정란을 착상시켰으나 2마리만 임신에 성공했다. 그
중
1마리는 일찍 죽었다.하지만 이번에는 대리모 개 12마리 가운데 3마리나 임신에 성공했다는 것. 임신한 2마리는 보나와 피스를 낳았고 나머지 1마리는 곧 출산할 예정이다.연구팀은 또 이번 기법 덕분에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판을 친다. 이 현상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산업·기술
중
심주의적 사고에서 문화
중
심적 사고로 빨리 전환하지 않는다면 가까운 미래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역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다. 방송·통신 하드웨어의 지나친 공급이 사회적 파탄을 불러올 것이란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수
중
음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1916년까지는 잠수함 엔진에서 나오는 소리를 수
중
마이크와 증폭기를 사용해 수동으로 탐지했다. 그러나 1918년에는 음파를 발사해 잠수함에서 반사돼 돌아오는 소리로 잠수함을 찾을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엔진을 끈 잠수함도 찾을 수 있게 됐다. 제2차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과 함께한 놀자, 과학아! 샌프란시스코 과학놀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모습이 그림자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김정아 기자체험전의 여러 신기한 전시물
중
에서 기자가 가장 재미있게 체험한 것은‘핀스크린’이었습니다. 플라스틱 바늘이 모눈종이처럼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 벽 뒤에서 몸을 그대로 찍으면, 앞 쪽으로 그 모습이 입체적으로 표현됩니다.테마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무수히 떠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마치 감자처럼 울퉁불퉁한 암석으로 이루어진 소행성
중
지름이 100km 이상인 것은 현재까지 200여 개가 발견되었습니다. 소행성은 긴 타원 궤도를 그리며 해를 공전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일부는 우리 지구와 충돌할 수도 있습니다. 올해 창립 10주년을 맞이한 ... ...
이전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11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