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있지만 눈여겨 보면 깜짝깜짝 놀라는 신기한 현상들을 접할 수 있는 곳이다. 탐구관을
이용
하려면 사전에 단체 예약을 해야 한다. 유희열 관장하나라도 꼼꼼이 여유있게 관람해야국립종합과학관의 특징은?흔히 과학관을 기존의 박물관과 혼동하는 일이 많다. 박물관은 과거의 내용을 다룬다.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없는 일이다. 이때
이용
되는 것이 벨지안 로드(Belgian road)다. 화강암과 같은 넓적한 돌을
이용
해 만든 이 도로는 일반 아스팔트 도로보다 차에 미치는 피로도가 1백배에 달한다. 이에 따라 3천km만 달려도 3만km달린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이렇게 보완작업을 거듭해 만든 시작차를 바탕으로 ... ...
ATM무인은행현금자동입출금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통장을 돌려준다.ATM 을
이용
하면 사용한 내역이 적혀있는 명세표를 받는다. 이것은
이용
자에게 주는 것과 ATM 자체 보관용 두 개가 동시에 인쇄된다.화면ATM 생산 초기에는 메뉴판이 떠 있는 화면이 브라운관이었지만, 점차 액정화면으로 교체되고 있다. 단색으로 보이는 브라운관에 비해 액정화면은 ... ...
우주탐사의 심장부 고다드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번 비행(STS-80)에서는 ‘오르페우스-스파스’(ORFEUS-SPAS)라는 자외선우주망원경을
이용
한 천체관측이 주임무였다. 이들은 몇가지 기네스기록을 갱신했다. 먼저 ‘17일 15시간53분’의 비행시간으로 우주왕복선의 최장 비행기록을 깼다. 그리고 61세의 최고령 우주비행사가 탑승했다는 것. 고다드 내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판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취리히연구소가 원자와 분자를
이용
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주판을 만들었다. 주판은 ‘인류가 최초로 발명한 메모리’라는 의미를 가진다.분자주판의 원리는 구리원자로 둑을 쌓고 그 사이 고랑에 10개의 분자를 놓아 움직이는 방식. 구리원자 사이에 있는 고랑이 레일 역할을 하고,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이용
되고 있다. 또한 피부의 특수층에서만 번식하는 바이러스 연구에도 좋은 재료로
이용
되고 있다.우리 눈에 보이는 외형의 피부는 대부분 조직공학적으로 만들어내고 있다. 구강점막이나 자궁경부와 같이 몸 안의 특수 부위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이다.하지만 환자에게 직접 적용하는 사례는 ... ...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방향을 바꾸는 속임수에는 두 가지 단서가 있다.1. 원형이 아닌 물통 원형이 아닌 물통을
이용
하면 사기꾼이 쉽게 회전을 만들 수 있다. 물통에 물을 조심스럽게 채워 초기상태에는 아무런 회전이 없었다고 상상해보자. 누군가가 청중들에게 물이 배수되는 동안 회전을 보여주려고 한다면 어떻게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이룩했다.이러한 성공이 있기까지 시행착오도 많았다. 한때 미국과 소련에서 핵연료를
이용
한 소형 열기관을 동력원으로 하는 열엔진식 인공심장이 개발됐다. 그러나 무게가 너무 많이 나갔고 발열로 인해 인체에 해를 줄 수 있었으며 핵오염의 가능성이 커서 지금은 개발이 중단된 상태다.지금까지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판막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생체 판막을 가운데 두고 주변을 지지대로 연결한 형태다. 1969년 돼지판막을
이용
한 조직판막이 사람에게 성공적으로 이식된 후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해 왔다. 하지만 생체 조직을 사용하다보니 기계식보다 내구성이 떨어져 10-15년 후에 재수술을 받아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최근에는 고분자로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적당량의 인슐린을 혈중에 내보내는 바이오센서를 피부 아래에 장착하는 기술이
이용
됐다. 그러나 시시때때로 변하는 혈중 포도당 농도를 제대로 감지해서 인슐린을 투여하기엔 무리였다. 그래서 당뇨병환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시력감퇴나 신장 기능 저하와 같은 합병증에 시달렸다.이 한계점을 ... ...
이전
1189
1190
1191
1192
1193
1194
1195
1196
11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