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스페셜
"
전기
"(으)로 총 1,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나오면서 백색광이 실현된 것(삼원광을 합치면 백색광이 된다). LED는 효율도 매우 높아
전기
세를 더 물지 않으면서도 실내를 지금보다 훨씬 밝게 할 수 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청색LED를 발명한 일본 물리학자들에게 돌아갔다. 제3의 조명 시대를 연 청색LED는 그러나 일주리듬 교란과 멜라토닌 ... ...
[Green Lab_현장탐방]바이오연료 만드는 생물시스템공학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바이오연료지만 현재로서는 화석연료에 대한 가장 현실적 대안이다. 바이오연료는
전기
가 아닌 액체상태의 물질이다. 따라서 별도의 인프라를 구축할 필요 없이 기존의 내연기관 중심의 교통체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게다가 원료의 수입선을 다변화할 수 있어 국제유가에 휘둘리는 국내 ... ...
[Green Economy_지역 최고의 녹색기술]국내 첫 녹색시범도시 강릉을 체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10.14
무게를 최소화했다. 1회 충전으로 최대 80km를 주행할 수 있어 방문객에게 녹색도시
전기
버스투어를 제공하고 있다. 강릉 녹색도시 체험센 터는 시민강좌를 포함해 각종 체험프로그램을 마련해 방문객을 유치하고 있다. 녹색기술은 인간과 자연의 상생을 위한 마지막 히든카드로 여겨지고 있다.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대학에서 뭘 공부할까 고민하던 두 사람은 뇌에 관심을 갖게 되고 대학의 유명한 교수인
전기
생리학자 페르 안데르센에게 찾아가 연구할 프로젝트를 달라고 졸랐다(대단한 학부생들이다!). 당시 기억에 관여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뉴런 활성을 연구하고 있던 안데르센 교수는 성가신 이들에게 ... ...
글로벌 연구거점 구축과 차세대 연구리더 육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겠다
IBS
l
2014.10.10
1970년 서울대학교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1974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전기
공학과에서 통계물리학 연구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7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 기간에 물리학과 학과장('97~'99)과 물리학부 학부장('00~'04), BK21 서울대 물리연구단 ... ...
장님 코끼리 만지기 : 뇌와 의식을 이해하려는 노력들
IBS
l
2014.10.08
조작된 피험체에 광전극을 이식하여 미세한 변화에 따른 반응을 실시간으로 관찰한다.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기존의 방법은 의도치 않은 장소의 세포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 변인통제가 어려운 편이었는데 빛을 이용하면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자극과 행동 사이의 정확한 관계를 알 수 ... ...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되찾기 위해 용기를 냈습니다. 이번 수술은 손에 비정상적인 떨림을 유도하는 신경에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도록 침을 심는 것. 수많은 미세신경들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를 찾는 것이 관건입니다. [전화 인터뷰 : 장진우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교수] 1mm 이내의 좌표를 찾아야하기 때문에 ... ...
독창적인 광유전학기술로 뇌 비밀 밝힌다
IBS
l
2014.09.04
허 교수는 "신경과학 분야에 이런 기술이 없었는데, 새로운 기술이 생긴 것" "이전에는
전기
자극이나 약물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활성화했는데, 이 방법은 원하는 세포 말고 다른 세포에도 작용했지만, 광유전학기술은 타깃 세포에만 작용하고 빛만으로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 ...
[신재생에너지 기획⑥] 흐르는 강물처럼, 다목적 수력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4.09.02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댐을 만들더라도 댐의 상류에 비가 오랜 기간 오지 않으면 발
전기
가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없기 때문에 ‘양수식(揚水式)발전’을 이용하기도 한다. 양수식발전은 전력 소비가 적은 야간에 남는 전력을 이용해 댐의 하류로 흘려보낸 물을 펌프를 이용해 다시 댐의 상류로 ... ...
[Green Lab
동아사이언스
l
2014.08.27
본 스택 등 전지의 크기가 생각보다 작은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었다. 또한 아연, 브롬은
전기
재료로서 가장 값싼 재료 중 하나로 바나듐보다 많이 저렴해서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드는 것도 무시할 수 없는 장점이다. 다만 VRFB의 전해액 내 바나듐은 회수율이 90% 이상이라 10~15년 사용한 뒤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