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스페셜
"
새
"(으)로 총 1,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0) 기계에게 판단하는 법 가르치기
2019.05.07
인공지능의 말소리는 오히려 충격적이다. 요 몇 년
새
무섭게 진화하는 인공지능에 대한
새
소식이 들릴 때면 언제나 이 장면이 떠오른다. 2015년 3월 13일은 인류가 인공지능에게 바둑으로 승리한 마지막 날이다. 퀴즈쇼 ‘제퍼디(Jeopardy)’의 전설적인 퀴즈왕들이 인공지능 ‘왓슨’에게 줄줄이 ... ...
'동네를 놀이터로'…아이는 놀아야 자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5.04
연구실장은 “어린이가 가기 힘든 곳에 있어 거의 사용하지 않는 놀이터도 많다”며 “
새
로운 놀이터를 만들 때는 이 진단도구로 현황을 파악하고 좋은 입지를 찾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 “이것도 저것도 할 수 있어야 좋은 놀이 공간” 지정우, 서민우 EUS+건축사무소 공동소장 'EUS ... ...
티베트 고원지대 차지한 첫 인류는 ‘데니소바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네안데르탈인과 다른 제3의 인류라는 사실이 밝혀지며 ‘데니소바인’이라는
새
이름을 얻었다. 이후 같은 동굴에서 치아 및 뼛조각이 더 발굴됐고 역시 게놈 해독을 통해 데니소바인임이 밝혀졌지만, 종의 특성을 알 수 있을 만큼 큰 화석이 발견되지 않아 실제 모습은 미궁에 빠져 있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있는 건 아니어서 23년 사이 첫 알을 낳은 날과 알이 부화한 날의 차이가 이틀 줄었다. 박
새
는 첫 알을 낳은 뒤 며칠에 걸쳐 알을 십여 개 더 낳은 뒤 품기 시작하는데, 그 기간이 짧아졌다는 말이다. 생물들의 적응력 생각보다 강해 지구온난화가 가속된다면, 계절불일치로 인해 위기를 맞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을 할 때 음악 틀면 효과적일까
2019.04.27
취약한 사람으로 이들은 지루해지지 않으려면, 만족스런 상태를 유지하려면 계속해서
새
외부 자극을 받을 필요가 있는 사람들이다. 일반적으로 외향성이 높은 사람들이 여기에 속한다. 따라서 같은 음악을 들어도 외향적인 사람들은 일의 능률이 오르는 반면 내향적인 사람들은 반대로 능률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아시아에서 나온
새
로운 인류의 이빨
동아사이언스
l
2019.04.13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고대 인류의 이빨 두 개를 이번 주 표지에 실었다. 필리핀 북부 루손 섬의 칼라오 동굴에서 발굴된 이빨 화석이다. 약 5만~6만 7000년 ... 표지에 ‘아시아 밖으로’라는 제목을 달며 아시아에서 나온 이 화석이 인류의 역사를
새
롭게 쓸 수 있음을 시사했다 ... ...
스페이스X, 현존 최강 로켓 ‘팰컨 헤비' 상업발사 시장 첫 데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힘과 유사한 수준이다. 팰컨 헤비는 1973년 달을 향해 발사된 미 항공우주국(NASA)의 로켓 ‘
새
턴Ⅴ’ 이후 가장 강력한 추진력을 지닌 로켓으로 평가받는다. 스페이스X가 팰컨 헤비 개발 계획을 처음으로 공개한 때는 2011년 4월이다. 당시 일론 머스크는 2년 내에 팰컨 헤비를 발사할 수 있을 것으로 ... ...
[과학게시판] 한국연구재단, 2019년 학술지평가 전략 및 변경사항 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완화 기준을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학술지 기본체계 구축에 필요한 요건을 세분화해
새
신청자격도 만든다.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의 데이터베이스(DB)를 관리하기 위해 평가가 면제되던 KCI내 해외 DB 등재학술지에 대해 2020년부터 신청자격 평가도 도입한다. ■ 한국한의학연구원은 ... ...
잘 찢어지는 쓰레기봉투 안녕...나일론처럼 질긴 친환경 비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5
등을 친환경 소재로 바꾸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연구를 주도한 오 선임연구원은 “
새
로 개발한 소재가 국내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유전자는 물론 ‘사람’의 크립토크롬 유전자를 넣어줘도 능력을 회복한다. 한편 철
새
의 눈을 가리면 지구자기장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도 크립토크롬 모형을 지지하는 현상이다. 그런데 이번 알파파 감소 실험은 빛이 없는 공간(패러데이 상자)에서 수행됐다. FAD가 파란빛을 받아 전자를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