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활
생계
생명
인생
목숨
생애
라이프
스페셜
"
삶
"(으)로 총 1,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인쇄는 두 사람이 한 팀이 되어 한 사람은 잉크를 바르고 한 사람은 인쇄를 했다. 인류의
삶
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준 세기의 발명이 흔한 농기구를 간단히 변조해 만들어진 것이다. 구텐베르크는 이렇게 목활자를 이용하여 『선량한 사람(Bonus Aomo)』을 찍어 또 다시 대성공을 거두었다. 때마침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새로운 일자리와 신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면서 “특히 보건의료기술은 국민행복과
삶
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술로 우리가 소명감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 참석한 민병주 새누리당 의원은 “바이오산업이 국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가치가 증대되고 있다”며 BT관련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2명, 2035명에는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할 정도다. 수명이 길어지는 것은 개개인의
삶
의 질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인의 평균수명은 81세지만 질병 없이 사는 건강수명은 73세에 불과해 8년 정도는 질병에 시달리며 보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
’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Zelboraf)240mg’가 하나의 근거다. 김 교수는 “암 치료를 통해 생명이 길어졌지만
삶
의 질이 나빠지면 안 된다”며 “새로 개발한 약으로 피부암을 고친 호주 사람이 강한 햇볕 속에서 골프를 칠 수 있게 됐다는 소식을 들었는데, 바로 이 부분이 즐거운 소식”이라고 말했다. ●‘2배 빨리 만든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아니라 오히려 다른 기술을 융합시키는 구도인 셈이다. “BT가 질병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
을 누리게 하는 HT에서 꾸준히 중심 지위를 지킬 수 있도록 노력한다면 우리나라 미래의 중요한 성장동력이 될 것입니다.” 선경 교수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연구, 기술 위주보다 목적 위주로 재편해야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6.07
접목이 필수적입니다.” 그의 말은 단호했다. 개인 컴퓨터(PC) 1000달러 시대가 사람들의
삶
을 바꿔놨듯 개인유전체 분석이 1000달러 시대에 들어서면 사회 전반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고 했다. 그는 이를 ‘바이오 혁명’이라고 표현했다. “앞으로 개인별 맞춤의학이 대세를 이룰 것”이라 말하는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과학기술이 산업화로 이어지도록 과학기술경영 인력 키워야” ③ “R&D 목표를 공공의
삶
의 질을 높이는데 둬야” ④ “R&D 지원·관리 기관 예산 선진국 수준인 국가R&D 예산의 5%로 늘려야”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멀리 내다보고 제대로 된 정책을 마련하겠습니다. 농어민의 소득을 높이고 국가 전체의
삶
의 질을 높이는 연구기획은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정승 원장의 ‘이것만은 꼭!’ ○ 농식품 기술은 ‘먹는다’는 개념을 뛰어넘은 기술이다. ○ 유전자연구 등 생명공학 연구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09.02.24
차원의 ‘내셔널 아젠다’로 잡아 진행하고 있다. ‘내셔널 아젠다’가 되기 위해서는
삶
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연구여야 한다. 박 원장은 “앞으로 다가올 고령화 사회를 대비해 장수 연구도 ‘내셔널 아젠다’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BT위원장’ 맡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