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뉴스
"
항공
"(으)로 총 5,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종호 "정부 출범 1년, 누리호·다누리 성공이 가장 큰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23.05.17
진입 성공에 이어 2045년 화성을 향한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우주개발 전담기구인 '우주
항공
청' 설립에도 착수하는 한편 한미 우주동맹을 성사시켰습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7일 충북 오송 과기정통부에서 열린 취임 1주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한국의 우주기술이 ... ...
“이번 목적지는 화성”...한화 ‘우주의 조약돌’ 2기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3.05.16
2기 학생들은 7~12월까지 총 6개월 간 KAIST에서 기초 과학 이론 및 우주 인문학 강의를 듣고
항공
우주공학과 교수진, 석·박사 멘토들과 함께 ‘주제 선정-논리 구체화-결과 도출’에 이르는 과정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경험형 우주 미션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우주 인문학 컨퍼런스에는 ... ...
인류 달 밟는 장면 4K 영상으로 본다...'아르테미스'에 레이저 광통신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3.05.15
달 표면 알갱이 하나하나를 4K 초고화질(UHD)로 실시간 들여다볼 수 있는 날이 올까.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이를 현실화할 우주 레이저 광통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은 미국 주도로 한국도 참여하고 있는 유인 달 탐사계획 ‘아르테미스’에 활용된다. 2025년 인류가 다시 한번 달을 밟는 ... ...
KAIST 조정훈 학술상에 최한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3.05.12
합쳐 KAIST에 학술기금으로 기부한 4억7800만 원을 재원으로 만들어졌으며, 2005년부터 매년
항공
우주공학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업적을 이룬 젊은 과학자를 발굴해 시상하고 있다. KAIST는 또 이 기금으로 조 박사가 재학했던 KAIST와 고려대, 공주사대부고에서 매년 각 1명씩 장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 ...
ETRI, 인천시와 6G 입체통신 실증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인천시와 6G 실증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해 6G 입체통신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6G 기반 미래
항공
모빌리티 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인천에서 개발한 PAV와 6G를 활용해 개인용 비행체가 운용되고 관광·레져가 있는 관광복합리조트, 파브랜드마크시티를 ... ...
NASA가 분석한 '다누리' 영상...달 착륙지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섀클턴 크레이터’의 표면. 미국우주
항공
국(NASA) 제공 유인 달 착륙을 추진중인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달 착륙지 탐색을 위해 한국형 달궤도선(KPLO) 다누리에 실은 섀도캠이 달 극지의 다양한 지형을 촬영한 이미지를 최근 공개했다. NASA는 “지난해 12월 다누리가 달 궤도에 진입한 이후 ... ...
행성 잡아먹는 별 관측...50억년 후 지구의 운명?
동아사이언스
l
2023.05.08
에너지가 별이 다른 행성과 결합하며 나온 가스일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연구팀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 적외선 우주망원경 ‘네오와이즈’ 관측자료에서 결론을 얻었다. 폭발이 일어난 후 별이 방출하는 총 에너지 양을 추정했다. 그 결과 매우 적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에너지 ... ...
세번째 발사 누리호 "3단 조립 남았다"...막바지 작업 착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화염의 온도나 속도,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들을 점검했다”고 말했다. 강선일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한국형발사체고도화사업단 책임연구원이 누리호가 발사될 제2발사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항우연 제공 기상청 장기전망에 따르면 3차 발사가 예정된 22~28일엔 전남 지역 주강수량이 평년(7.6~27. ... ...
첫 실전 발사...누리호 발사까지 남은 일정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5.07
오로라 발생입자 관측이나 전리권 플라즈마 버블 관측도 진행한다. 관측한 자료들은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공유하며 협력연구에 나설 예정이다. 국내 업체 루미르가 개발한 위성 역시 6U 크기로 우주 방사능을 측정하고 우주 방사능에 대한 오류 극복 기술을 검증한다. 임무 수명은 6개월이다. 국내 ... ...
[표지로 읽는 과학] 50억년 후 지구가 태양에 잡아먹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6
차가운 에너지는 별이 다른 행성과 결합했을 때 발생한 가스란 설명이다. 미국우주
항공
국(NASA)의 적외선 우주망원경 '네오와이즈'는 이 현상이 별들의 충돌이 아닌 별이 다른 행성을 잡아먹는 모습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별이 방출하는 총 에너지 양을 추정한 결과 매우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