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다
대양
대해
해운
해사
해
d라이브러리
"
해양
"(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이 창조한 별들의 콘서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9호
관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 세 가지 임무를 동시해 수행하는 정지궤도 위성은 통신
해양
기상위성이 세 계 최초다.우리나라는 우주센터와 인공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발사체(로켓)도 개발하고 있다. 전라남도 고흥 외나로도의 우주센터는 내년 초에 완공될 예정이다. 내년에는 외나로도 ... ...
해저 2만리 보물선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7호
세계적인 탐험가와 유명한 난파선을 만나 보렴.세계적 탐험가자크 쿠스토(1910~1997)
해양
연구의 선구자인 내 이름을 한 번도 못 들어 봤다면 정말 섭섭한걸. 난 세계최초로 수중호흡기를 만들어 바다 속 보물창고의 문을 열었지. 1952년 프랑스 그랑콩글루에 만에서 기원전 230년 경의 배를 발굴하면서 ... ...
물 위를 나는 배 위그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시속 500㎞도 가능해요.빨리 그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앞으로 계획을 들려 주세요.한국
해양
연구원은 2009년까지 20인승 위그선을 만들 계획이에요. 2012년까지는 100톤급 위그선을 만들어 여객선으로 쓸 계획이래요 ... ...
잠자는 넙치 물 없이 미국 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담아 비행기나 배로 옮겨야 해요. 이 때 많은 양의 물이 필요하고 돈도 많이 들어요. 한국
해양
연구원의 김완수 박사팀이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넙치를 잠재운 뒤 운송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넙치는 15℃의 물에서 잘 사는데 물의 온도를 3~5℃로 낮추면 겨울잠을 자듯 잠들어요. 잠자는 넙치는 3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등에 전해 줄 거랍니다. 중국은 통영의 바다목장을 본 따
해양
연구를 시작했고 사우디아라비아도 우리나라처럼 관광형 바다목장을 짓고 싶어 한답니다. 우리 기술로 지은 세계의 바다목장을 기대해 주세요!도대체 우러기의 집은 어디?우와, 드디어 바다목장 공부 끝!우러기 ... ...
물고기에게 '맞춤형 가옥'을 지어줍니다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과학자 이전에 ‘뱃사람’ 돼야현장을 중시하는 그는 자신의 석사 논문 주제인 ‘
해양
생물 냉동보존기술’이 산업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고 싶었다. 그래서 2005년 전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T) 인턴프로그램을 활용해 물고기 먹이를 제조하는 중소기업 ‘씨엔텍’에 인턴으로 취업했다. WIST ... ...
노행운 씨의 마파도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누…, 누구세요?”바다를 너무나 좋아하는 노행운 씨. 혼자 배를 타고 낚시를 즐기던 중 거센 파도에 휩쓸려 배가 난파되고 말았다. 불행 중 다 ... 똑같은 모형선을 만들고,
해양
공학수조에 띄워 실험한다. 그래서
해양
공학수조는 배나
해양
구조물을 만들 때 꼭 필요한 중요한 시설물이다 ... ...
돌격! 동물특공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평화롭게 살 수 있다는 사실, 잊지말자구요! 바다를 지키는 최전방 파수꾼!안녕? 난 미국
해양
동물특공대인 케이독이야. 태평양에 많이 살고 있으며 주둥이가 길고 병모양인 병코돌고래야.우리는 컴컴한 바다 속에서 물체의 위치를 알아내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어. 우리의 머리 안에는 ... ...
로보카, 무인자동차 대회 출격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선조로 추측된다북태평양 오가사와라제도(小笠原諸島) 부근에 중심을 둔 고온다습한
해양
성고기압 영구적으로 존재하며 그 중심위치는 여름철에 약간 북상하고, 겨울철에 약간 남하한다 우리나라에는 장마가 끝난 뒤 여름철에 영향을 미친다지질시대에 있어 약 1억 4천만년∼6천 5백만년 전의 ... ...
열대
해양
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바다에서 무럭무럭 자라고 있다. 연구진은 오는 12월 수확을 기대하고 있다.흑진주가
해양
연구센터의 첫 성과물로 떠오른 이유가 뭘까. 연구를 주도한 박흥식 박사는 “짧은 기간에 가장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연구주제였다”고 설명했다. 신물질 추출을 통한 신약 연구는 장기간의 노력과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