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보다 못한 한국물리
학회
에서도 이 문제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물리
학회
장인 한양대 김채옥 교수는 “국내 응집물리 이론가들은 저널에 나온 수준은 인정하기로 했으나 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지는 않기로 내부 방침을 정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응집물리분과는 10월 중 열리는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있다. 우리팀은 지난 5월 지구에서 1만5000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을 발견해 ‘천체물리
학회
지’에 발표했다. 우리은하 중심의 궁수자리에 있는 이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600배이며 (목성 질량의 2배) 중심 별로부터 약 3억km(지구와 태양 거리의 2배) 떨어져 공전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중력렌즈 관측법은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학회
에 수차례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지난 3월에는 더 정교한 결과를 ‘미국 응용물리
학회
지’(APL)에 발표했으며, 최근엔 실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증명해냈다. 레이저로 적 탱크 찾아낸다레이저를 응용하는 분야는 다양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연구팀이 개발하고 있는 ‘3차원 영상 라이더’.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음향학, 광학, 전자기학, 수력학, 열역학 등 폭넓은 분야에서 과학연구를 계속했다. 왕립
학회
서기와 회장을 지냈고, 왕립연구소 자연철학 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재·현·실·험레일리와 램지가 아르곤을 발견했지만 그 결과는 바로 학계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아르곤의 밀도가 당시 알려진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실험실을 수도 없이 오갔다. 당시에 비하면 유학시절 고생은 아무것도 아니었다.
학회
에 갔다 관심 분야가 비슷해 친해진 고신대 의대 고(故)박병채 교수와 밤늦도록 술잔을 기울이며 고충을 털어놨다. 박 교수는 환경이 열악하다고 연구를 못하는 건 아니라며 격려했다. 김 교수는 “어려울 때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약 90만광년 떨어진 은하수 너머 우주에 있었다.1924년 12월 30일 미국 천문
학회
에서 섀플리와 커티스가 참석한 가운데 허블의 발견이 발표됐다. 두 사람의 논쟁은 끝이 났고, 커티스의 주장대로 우주가 생각보다는 매우 크다는 사실이 세상에 알려졌다.이후 허블은 은하의 일반적인 구조와 우주에서 ... ...
돈 많으면 행복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글렌 파이어보 교수와 로라 타흐 교수는 돈과 행복의 관계를 조사해 최근 열린 미국사회
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 이들의 결론은 ‘돈이 사람을 행복하게 한다’는 것. 대신 ‘주위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많이 있어야 한다’는 전제가 필요했다. 연구팀은 1972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인 2만여명을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확실하지 않다. 과학자의 연구가 인정을 받으려면 국제적인 학술지에 논문으로 실리거나
학회
에서 발표돼야 한다. 이때까지는 다만 확인되지 않은 가설일 뿐이다. 연구팀도 이 같은 검증 과정을 거치기 위해 현재 한창 연구중이다. 실제로 공룡이 사라진 것은 백악기 말인 6500만년전이다. 쥐라기와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사실이 밝혀졌다. 이런 사실은 오는 11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리는 세계척추고생물
학회
에 정식 제출될 예정이다. 완벽한 머리뼈 화석이 나오자 연구자들은 한반도에서도 온전한 형태의 뼈 화석이 출토될 가능성에 기대를 걸고 있다.예부터 십장생으로 불리던 거북도 공룡이 처음 등장한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파괴적인 병으로 불린다. 병을 앓고 있는 환자수도 상상을 초월한다. 한국정신병
학회
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국민의 1%가 이 병을 앓거나 경험한 적이 있을 정도.환청이나 망상 같은 심각한 증상 외에도 의욕이 급감하는 무기력증과 말 수가 적어지는 무언증상이 있으면 일단 정신분열로 의심해봐야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