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과학동아 l1996년 02호
- 새벽 1-2시였으며 기상시간도 오전 9-10시 사이가 많았다.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경향은 학부생들이 더 강했다. 석박사 과정의 학생들은 아무래도 교수들의 출근 시간을 의식하는 듯 늦게 자도 일찍 일어난다고.과학동아를 읽어본 사람은 1백명 응답자 중 83명이었다. 38명이 고등학교때 처음 ... ...
- 노벨상 '속성재배'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5년 11호
- 전반에 대한 육성책이 필요하다 등 많은 얘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 96학년도부터 학부제가 실시되면서 비인기 과학 교수들은 "국가 경쟁력도 중요하지만 소외되는 분야가 있어서는 안될 일"이라고 말하고 있다.고등과학원과 직접적인 이해 관계를 지닌 과학기술계의 반발이 심상치 않았다. 그래서 ... ...
- 한화통신 대표 강경석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관찰했다면 이 회사가 얼마나 내실 있는지 눈치 챌 것이다.강경석 사장은 서강대에서 학부를 마치고 76년 KAIST 전자공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한 후 전자기술연구소에서 반도체 설계 용역에 종사하다 지난 88년 중국시장을 노리고 '한화상사'라는 이름의 모험기업을 창업했다. 당시 취급 품목은 주종목인 ... ...
- 20세기 천문학의 현장을 가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코르디스 박사가 관측한 결과를 처리하고 있었다. 비록 아르바이트이긴 하지만 이미 학부 때부터 이처럼 유명한 천문대에 와서 직접 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모습을 보니 우리 천문학교육에 대하여도 많은 것을 생각하게 되었다.마지막으로 들른 방문자 센터에는 여러 가지 천문상품들이 ... ...
- 입시장벽, 과학영재 앞길 막고 있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모든 사람이 과학영재를 창의적 과학자로 키워가는 문제해결의 주체가 되어야 합니다. 학부모들은 과학자를 키운다는 것이 어떠한 태도를 요구하는가를 고민해야 하고 교사들은 여건은 어렵더라도 학생들을 과학영재로 바라보고 과학자로 키우려는 자세가 요구됩니다.창의적 과학자는 외로운 ... ...
- "낭만 탐구 공존, 밝은 미래 확신"과학동아 l1995년 07호
- 잘 이루어지고 있는 산학체제와 학생들의 연구의욕이 그것을 뒷받침해 준다. 이제 겨우 학부 3학년의 나이이지만, 나는 KAIST에서 밝은 미래의 빛을 볼 수 있다는 것을 결코 믿어 의심치 않는 것이다 ...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20세기 물질과학의 화려한 등장을 예고한 X선. 파장이 짧은 이 빛은 어떻게 발견되었고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음극선 발견에서 출발, 방사선의 등장까지 숨가쁘게 이어지는 X선 탄생드라마를 추적해보자.20세기 과학에 대한 시대 구분을 할 때 대부분의 과학사가들은 1895년을 그 기점으로 잡는 ... ...
- 1. 무시험 입학, 구김살 없는 과학영재 기른다과학동아 l1995년 07호
- 다른 대학과는 달리 이름부터 원(院)이라는 특수한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학부중심의 다른 대학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 것이다. 그간 과학원, 과기원, 과기대 등으로 혼용되고 있지만 KAIST라는 이름으로 해외에 더 많이 알려져 있다.KAIST에는 3백30여명의 교수와 약 2천여명의 이공계 ... ...
- 3. 세계 10위 목표, 지식보다 상상력 소중히과학동아 l1995년 07호
- 그러나 우리나라는 학부와 대학원을 대부분 동일계에서 거치므로 모든 대학이 모두 학부와 대학원을 설치하려는 모순에 직면하고 있다. 즉 학문의 '근친상간'이 이루어지고 있는 셈이다.이러한 의미에서 KAIST 구성인원을 보면 대단히 특이하게 타대학 출신이 많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학문의 ... ...
-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공명기기를 이용해 촬영하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은 현재 미국 대학교에서 사용하는 학부 2학년 수준의 유기화학 교과서에도 자세히 소개돼 있다.한편 탄소양이온의 구조에 대해서 새로운 유기화합법의 개발로 79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퍼듀대학의 브라운 교수와 올라 교수가 벌인 논쟁은 아직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