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시"(으)로 총 2,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연에 숨어있는 수학의 코드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8호
- 확대된 지도에서는 아마 처음만큼 쉽지는 않을 것이다. 너무 작아서 첫 번째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던 수많은 만과 곶이, 확대된 지도에서 는 모두 펼쳐져 있기 때문이다. 지도를 더 크게 확대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다 보면 결국 해안선의 길이는 예상을 뛰어넘는 무한대에 가까운 값으로까지 ... ...
- 미래형 '헬리플레인' 영국 판보로 에어쇼에 오다과학동아 l2006년 08호
- 수소로 이뤄진 탄화수소라 불리는 무색·무취의 화합물의 하나로서 분자식은 CH₄로 표시된다 지구에서 가장 흔한 가연성 가스이며, 자연 상태에서는 생물의 유해 등이 미생물로 분해됨으로써 발생한다DNA에서 발현돼 만들어진 mRNA를 이용해 거꾸로 만든 DNA 염기서열조각 발현된 부분이기 때문에 ... ...
- 열대지역이 넓어진다과학동아 l2006년 07호
- 1촉광의 빛을 107km 떨어진 곳에서 보는 밝기와 같다 그러나 이보다 밝은 별은 마이너스로 표시한다 가령 태양은 -267등급, 보름달은 평균 -125등급이다 포유류의 우제목(偶蹄目)에 속한 되새김동물 낙타과(科) 애기사슴과 사슴과 기린과 소과 등의 동물이 여기에 해당된다 이 반추동물들은 4∼5개의 ... ...
- 나이아가라에 터널 뚫는 세계 최대 굴착기과학동아 l2006년 07호
- Mach number)라고도 한다 유체의 속도와 그 유체 속을 전파하는 음속과의 비 기호는 M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유체가 정지해 있을 때는 물체의 속도와 유체 속의 음속의 비를 의미한다 보통 공기 속을 탄환 비행기 미사일 등 고속비행체나 고속기류가 흐를 경우에 사용되는데, 이것들의 속도를 음속을 ... ...
- 아이팟 신발이 주는 음악적 자극과학동아 l2006년 07호
- 색으로 표시되는 음의 큰 값을 가질 때가 엘리뇨 기간이며, 이와는 반대로 푸른색으로 표시되는 양의 큰 값을 가질 때가 라니냐 기간이다 이는 대략 3-7년 주기를 보이나 최근에는 엘니뇨 기간이 연속됨을 보여준다핵이나 세포기관이 없고 비교적 단순한 원형질 막구조를 가진 생물 박테리아나 ... ...
-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과학동아 l2006년 07호
- 가진다.빛 에너지는 파장에 따라 변하며 특정 파장에서의 에너지는 $h·c/λ$(또는 $h·ν$)로 표시한다 ($c/λ$는 진동수(ν)이고, c는 빛의 속도이다. h는 플랑크 상수로 값은 $6.63 X {10}^{-34} J·s$이다).만약 원자 내부에서 전자가 불연속적이면서 특정한 에너지 상태로만 존재한다면 발머가 발견했듯이 수소 ...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많이 일으키는 n─헵탄을 0으로, 이들의 혼합물이 나타내는 옥탄가를 이소옥탄의 부피로 표시한다 가령 이소옥탄이 90%이고 n─헵탄이 10%인 가솔린의 옥탄가는 90인 셈이다 현재 시판중인 가솔린은 자동차가 저속으로 달릴 때를 기준으로 하여 옥탄가 92와 96 등이 있다데이터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 ...
- 하늘 그린 지도, 우주 담은 시계과학동아 l2006년 07호
- : 톱니 수에 따라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해 시간과 날짜를 구분해낸다.06시간표시장치 : 가로로 놓인 톱니가 시계 회전축 톱니와 맞물려 일정하게 돌면서 시간을 나타낸다.시간과 공간이 결합하다서양의 기계 시계들은 중국을 거쳐 조선에도 전래됐다. 당시 조선에서는 해시계와 물시계를 ... ...
- 사실이야? 진짜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년 07호
- 만우절을 맞아 거짓말에 대해 낱낱이 파헤쳐 볼까요?▶만우절이 새해였다?달력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4월 1일은 우리들이 손꼽아 기다리는 바로 그날! 만우절입니다. 만우절에는 친구에게 거짓말로 골탕을 먹여도 웃을 수 있는 날이지요. 그런데 이런 즐거운 날은 어떻게 해서 생겨난 것일까요? ... ...
- 움직이는 '붙박이별'과학동아 l2006년 06호
- 측정해 입증함으로써 천문학계에 공인된다.항성이 1년 동안의 움직인 각도는 초(˝)로 표시한다. 1˝는 3600분의 1도(°)로 환산하며 1°는 60분(′), 1′는 60″다. 고유운동이 가장 큰 별을 찾아라고유운동의 존재가 알려진지 약 30년이 지난 1842년, 독일 본 천문대 대장이었던 프리드리히 아르겔란더는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