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포기"(으)로 총 1,412건 검색되었습니다.
- 3. 미리 본 차세대 운영체계 '윈도스 95'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맥이라는 고가의 기계에서만 작동된다는 한계를 갖고 있었고, 넥스트스텝은 하드웨어는 포기한 채 운영체제만 살아남아 있는 기형적인 형태이기 때문에 일반화에는 실패한 것처럼 보여진다.하지만 이들 둘의 장점은 윈도스 95를 통해 되살아나고 있다. 윈도스 95는 넥스트스텝과 같은 안정적이고 ... ...
- 2. 성은 왜 암·수 둘 뿐인가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낮은 계급과 만나면 세포질 유전자를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고 높은 계급을 만나면 포기해야 한다. 하나의 성이 어떤 경우는 +, 어떤 경우는 -로 작용해야 한다. 이때 혼동을 일으키면 미토콘드리아 전쟁의 위험성이 생긴다. 결국 두가지 성만을 가지는 이유는 만약 더 많은 성이 있다면 삶이 너무 ... ...
- [3] 궂은 날 지병 악화, 기의 인체 영향 때문과학동아 l1994년 11호
- 들에서 자연을 감상하면서 자연의 기를 느낄 수 있어야 한다. 한그루의 나무를 보고 한포기의 풀을 바라보면서 그 생물의 기를 파악 한다는 것은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 우리의 조상들이 격물치지(格物致知:한가지 사물에 대해 올바르고 정확한 이해를 하는 것)한다고 하였는데, 이것이야 말로 ... ...
- 1. 노벨상에 성큼 한국 과학자들 역주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수 있는 연구로 주목을 받았던 서울대 임지순교수(43)는 "실험 결과 이론이 증명되지 않아 포기했다"고 말하면서 노벨상에 관한 몇가지 견해를 밝혔다. "노벨상 수상자가 국내에서 나오기 위해서는 몇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 단계는 외국 유명 저널에 많은 논문을 싣는 것이고, 두번째는 ... ...
- 유전병 유무 수정란 상태서 판별과학동아 l1994년 11호
- 아이를 낳았다. 또다시 같은 병을 가진 아기를 낳을지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둘째를 포기하고 있다가 착상전 진단 방법을 알고서는 출산을 결심했다.착상전 진단의 원리는 간단하다. 먼저 난자와 정자를 체외에서 수정시켜 배양한다. 세포의 수가 8개 정도 됐을 때 진단을 위해 세포를 채취 한다. ... ...
- 2 유전공학 공해 핵 오염보다 무섭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과연 우리는 자연개발에서 얻고 있는 혜택을 줄일 수 있을 것인가? 또한 편안한 삶을 포기할 수 있을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는 매우 어렵다.그러나 우리는 지금 무기력한 혼돈사회로 가고 있음을 알고 있다. 그렇다면 새로운 가치관을 세우고 과감히 양자택일을 함으로써 가속화되는 ... ...
- 백두산 고지대 희귀꽃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있다.백두산은 지금으로부터 3백년이 채 못되는 1702년 4월 마지막으로 폭발해 식물 한 포기 살 수 없었던 벌거숭이 화산이었다.오늘날 이 꽃밭을 형성하고 있는 식물들은 화산분출이 끝나고 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조성이 이루어진 뒤에 백두산을 둘러싸고 있는 북한의 고산, 시베리아 캄차카와 북구 ... ...
- 태즈메이니아의 비극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고 있다. 태즈메이니아 사람들이 그들에게 매우 유익한 관습을 포기한 것은 수레바퀴를 거꾸로 돌림으로써 발전을 추구하게 마련인 인류 역사의 기본정신에 정면으로 도전한 결과가 되었지만, 단순히 물질적 이익이 된다는 냉혹한 계산에 의해서만 인류문화가 형성되는 것은 ...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측정하는 사람의 숙련도와 시력에 따라 약간의 변수가 발생한다.그럼에도 이 방법을 포기하기 어려운 점은 쌍안경 하나만 가지면 일반인들도 쉽게 관측할 수 있다는 점이다. 굳이 수치화를 안해도 우리 도시에서는 별이 3개밖에 볼 수 없었는데 지리산에서는 10개 이상이 보였다는 사실이 밤하늘 ...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과학동아 l1994년 09호
- 쿠션 역할을 해 다친데도 없이 살아난 제자의 손에는 떨어지면서 엉겁결에 잡아뜯은 풀포기가 쥐어져 있었다. 알고보니 그 유명한 솔잎란. 그때 그는 제자가 다쳤는지 여부보다 솔잎란이 먼저 눈에 띄었다고 한다. 이 솔잎란은 지금 서울대에 표본으로 남아 있는데, 훗날 이 제자가 그 표본에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