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중"(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지금 당장 도전하고 있는 과제가 정말로 가장 어렵게 느껴진다는 말이다. 그날의 연구에 집중하는 과학자로서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이리라.하지만 이런 오 교수도 정말 힘든 시기를 겪었다. 스스로 최고의 성과라고 생각하고 있는 로봇 ‘휴보’의 첫 번째 공개 행사다. 로봇 ‘휴보’의 첫 번째 ... ...
- 짜릿한 수학, 평생 즐기는 세계적인 수학자 (금종해 고등과학원 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이어갈 수 있을까?’ 고민이 깊어지던 찰나, 고등과학원에서 제안이 들어왔다. 연구를 집중해서 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해 주겠다는 것이었다. 학창 시절부터 꿈꾸던 수학자의 길을 갈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확신은 있었지만, 학생들과 보내는 시간이 행복했기 때문에 조금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목표를 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좌절 절대 금지!이 교수는 연구원들이 연구에 집중하도록 계속 독려하면서도 항상 ‘좌절금지’를 강조하고 있다. 다른 사람들이 하지 않는 일을 하는 만큼 쉽게 풀리지 않는 문제에 부닥칠 때가 예사이다. 그는 항상 “자기 능력의 99% 이상을 쏟아부으며 ... ...
- 자동차의 ‘왕발’이 되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바에는 자신이 직접 일궈서 가꾸는 것이 낫습니다. 자동차 애프터마켓 쪽을 중점적으로 집중해 진행해야 했습니다. 디자인, 컨버전스 등 전체적으로 차를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단점 찾아내고 개선 사항 찾아낼 수 있는 사람은 몇 명 안됩니다. 그만큼 많이 파야 되고 즐겨야 합니다 ...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게 정말 재미있었다고 한다. 노 교수의 부모님은 많은 부모가 그렇듯 자식이 공부에 집중하기를 바랐다. 그래서 영화를 보러 갈 여유를 잘 내지 못했다. 그는 “고등학교 때 꼭 보고 싶은 영화가 있었는데, 부모님이 못 가게 해서 결국 보지 못했던 일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고 말했다.성적뿐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 있어요. 육아나 출산 휴가는 제도적으로 보장해 줘야 하지만 나머지 기간에는 더 집중해서 일할 수 있어야 해요. 그래야 남자에게 장기적으로 뒤처지지 않아요.” 역시 여성 리더답게 한번 조직 이야기가 나오니까 말이 술술 이어졌다. 정 원장은 기자에게 “직장 생활 하면서 뭐가 가장 중요한지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문가가 있다. 바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너지연)의 이진석 센터장이다. 학교생활 집중하던 차분한 학생부모님 영향 받아 화학공학 전공이 센터장은 초·중·고등학교 시절을 ‘얌전하고 차분한 학생이었다’고 설명했다. 인터뷰 자리에서도 조용한 목소리로 차근차근 응대하는 모습을 보였다.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신인 한국투자금융이다. 다들 몸을 사리며 변화를 두려워하던 위기의 순간에, 선택과 집중을 했던 유 본부장은 인생의 두 번째 전환점을 맞이했다. “길은 스스로 만들어 가는 것!” 은행을 인터넷은 물론, 스마트폰에도 결합시키다 당시 은행 업무는 오프라인 업무가 주를 이뤘다. PC 뱅킹이라고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잘 숙지하고 탐사에 참가하세요.벌 근처에서 장난치지 마세요바쁜 꿀벌이 꽃에 집중할 수 있도록 방해하지 마세요. 혹시 꿀벌이 정찰하다가 몸 주위로다가와도 그 자리에 가만히 있으면 공격하지않아요. 무섭다고 팔을 휘두르면 오히려 공격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어요.반드시 부모님과 함께 ...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아니라 아주 작은 체구의 새로운 인류라는 주장으로 나뉘었습니다.논쟁은 먼저 두개골에 집중됐습니다. 두뇌 용량이 400cc가 채 넘지 않았는데, 갓난아기나 어른 침팬지보다 뇌가 작았습니다. 반면 현생인류 중 난쟁이는 다릅니다. 키는 1m가 넘지 않는 것은 같지만, 두뇌 용량은 보통 사람의 머리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