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문가"(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고리포터가 밝히는 햄 기사의 진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50g씩 먹으면 대장암에 걸릴 확률이 18% 높아진다’는 내용입니다. 세계적인 보건 전문가가 모인 WHO(세계보건기구) 소속 기관의 발표라 파장이 더 큽니다. 가공육은 맛을 좋게 하고 저장기간을 늘리기 위해 고기를 절이거나, 연기로 향기를 입힌 고기입니다. 소시지나 훈제 고기도 여기에 속하지요. ...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먼 미래에 일어날 수도 있는 극단적인 상황을 상상해본 것이다. 극단적이라고는 하지만 전문가들은 분자컴퓨터와 뉴로모픽컴퓨터에서는 소프트웨어가 필요 없다고 단언한다. 이들은 뇌의 구조 혹은 기능을 모사한 컴퓨터다. 마치 뇌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그렇다면 전투기에서 쏘는 레이저도 실제로 가능할까. 이번에는 레이저 응용분야 전문가인 최만수 한국천문연구원 SLR그룹 연구원에게 물어봤다.“무기로 쓰는 레이저는 지금도 있습니다. 중국은 미사일을 레이저로 요격하는 실험에 성공하기도 했죠. 전투기에 실을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된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일어나지 않았다. 이처럼 기술은 예상을 뒤엎는 일들을 해낼 수 있다.하지만 기술에 앞서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해결방안은 ‘에너지 절약’이다.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같은 진단 업체들은 편리함, 낮은 가격, 빠른 속도 등을 장점으로 내세우고 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건강과 직결된 헬스케어 시장에서는 빠른 속도와 편리함이 능사가 아니라고 말한다. 캐나다 토론토대 엘레프테리오스 디아만디스 교수는 올해 4월 학술지 ‘임상화학과 실험실약물’에 이런 간편한 ... ...
- [Life & Tech] MSG, 결코 해롭지 않아요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찾는 거지요. 그럼 MSG가 내는 감칠맛은 무엇을 찾는 걸까요. 바로 단백질입니다. 식품전문가인 최낙언 시아스 이사는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이뤄져 있는데 단백질의 10~40%가 글루탐산”이라고 말합니다. 감칠맛을 내는 다른 아미노산도 있지만 글루탐산이 가장 강한 감칠맛을 냅니다. 글루탐산이 ... ...
-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동경로를 밝히는 기술이다. 불법 거래를 원천봉쇄하기 위해서다. 1996년엔 국제핵감식 전문가그룹(ITWG)이 결성됐다. 핵감식 기술을 개발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세계기구다. 현재 한국을 포함해 국가 또는 기관 28군데가 속해있다. 핵물질 원산지 추적 훈련우리나라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안당 삼성중공업 수석연구원 등 10명의 산학연 전문가가 평가위원회를 구성했다. 평가는 발표 10분, 질의 응답 10분으로 이뤄졌으며, 창의성, 성과물의 완성도, 사업화 가능성, 기술이해도 등을 기준으로 심사했다.그 결과, 고등부에서는 자가발전 자전거 무인 대여 ...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수원청개구리는 외모나 행동, 살아가는 모습이 아주 비슷해요. 그래서 전문가가 아니면 쉽게 구별하기 힘들지요. 특히 두 종은 같은 공간에서 살기 때문에 수원청개구리인줄 알고 잡았는데 실제론 청개구리인 경우가 많아요. 수원청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개체수가 많아 만나기도 쉽고 ... ...
- 반짝이는 점을 가진 왜소행성 세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내는 부분은 한 점이 아니라 여러 개의 점이 모여 있는 거란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전문가들은 이 부분이 소금이나 얼음이라고 생각하고 있지요.돈 탐사선은 6월 6일에 궤도를 바꿔 세레스에 약 4400km 거리까지 접근할 계획이에요. 아직까진 과학자들도 밝은 부분의 정체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