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마녀, 저주를 후회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정상적인 상태와 비교했을 때 호흡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질병으로도 발전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코골이를 하면 잠을 깊게 자지 못하게 되어 수면의 효율이 떨어져요. 그럼 낮에도 꾸벅꾸벅 졸며 금세 피로해질 수 있죠. 그러니 혹시 주변에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이 있다면 의사의 ...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필즈상을 거머쥔 것이지요. 국제수학연맹의 도움을 받아 필즈상 시상식이 열리기 전인 6월 15일 허 교수와 화상 인터뷰를 진행하고, 시상식이 열린 핀란드 헬싱키에서 7월 4~5일 만나 더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학교 간 사이에 공부하고, 또 새벽에 혼자 일어나 공부합니다. 예전에 허 교수가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겁니다 ...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거듭 축하의 인사를 건넸어요. 재밌는 이야기를 하나 하자면, 뒤미닐-코팽 교수님은 전날 를 만났을 때 허 교수님이 필즈상을 타는지 무척 궁금해했답니다. 기자는 단칼에 “비밀(Secret)!”이라고 대답했지요. 뒤미닐-코팽 교수님, 이제 궁금증이 풀리셨겠죠? 미션! 허 교수님을 온라인 ... ...
- 통계로 보는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처음으로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습니다. [ICM 강연] 수상자 중 무려 60명이나 수상 전 ICM에서 강연자로 초청됐어요. ICM에서는 수학 분야를 18 ~ 20개로 나눠 각 분야에서 성과를 올린 수학자를 초청강연자로 초대해요. 매회 약 200여 명이 초청강연을 하지요. 수학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요 수학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내기 어렵다고들 이야기해요. A. 그렇게까지 좋은 생각은 아닌 것 같아요. 실제로 4년 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이 논의가 나왔습니다. 그때 수상 제한 나이를 변경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옛날부터 있었던 규칙을 변경하지 말자는 의견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필즈상 자체가 나이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것은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 조건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은 최근 2~30년간 많은 발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조건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보이는 것은 교과서 하나 정도의 분량이 나올만큼 연구된 내용이 적습니다. 브레이버먼 교수님의 연구는 이 교과서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 ...
- [포토뉴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첫 번째 컬러 사진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이날 공개한 사진은 용골자리 성운, 남쪽고리 성운, 스테판의 5중주 3종으로, 하루 전인 1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맛보기로 SMACS 0723 은하단 사진 1장을 공개한 데 이어 추가 사진을 공개한 것이다. 더불어 NASA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관측 자료를 토대로 한 외계 행성 ‘WASP-96b’의 대기 분석 ...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만한 대상이 없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유사 사례를 조사한 조사단이나 전국의 금속공예 전문가에게 자문해도 시원한 답을 찾을 수 없었다. 그래도 추측해 본다면 어떤 기물에 장식적으로 붙인 마구리거나 맨눈으로는 문양을 볼 수 없다는 점에서 인간이 아닌 신을 위한 작품 정도로 생각해볼 수 있다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졸업 후 바로 설계 인력이 되는 것은 다르다. 김병성 교수는 “반도체학과를 졸업하면 전문가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표현이 가장 정확하다”고 말했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