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셈"(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조건 중 ‘궤도 주변에 작은 천체가 남아 있지 않을 만큼 중력이 크다’에서 벗어난 셈이다.10번째 행성 될 뻔한 에리스행성 후보로 올랐다가 자격미달로 왜행성으로 분류된 것은 명왕성뿐이 아니다. 1800년대 화성과 목성 궤도 사이에서 발견된 세레스의 궤도는 수학적으로 봤을 때 행성의 궤도라고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여 하나의 인생이 완성된다. 현재의 ‘나’는 지금까지 스스로 해온 선택의 결과물인 셈이다.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도 예외는 아니다. 지구에 등장했을 때부터 현재까지 살아남기 위해 크고 작은 결정들을 내려야만 했고, 그 결과 지금의 서식지에 각자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그들이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어느 순간 정상인 눈이 보내 주는 정보만을 받아들이지요. 그럼 한쪽 눈으로만 보는 셈이니 입체감과 거리 감각이 떨어질 거예요. 그리고 시간이 흐를수록 좋은 눈만 자꾸 발달하는 한편, 나쁜 쪽 눈은 퇴화해 시력이 나오지 않게 돼요. 즉, 시신경이나 눈에 큰 문제가 없어도 뇌가 보려고 하지 않아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An+Bn=Cn을 만족하는 정수 해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게 되는 셈이다.1984년, 독일 수학자 게르하르트 프라이가 최초로 페르마의 방정식(An+Bn=Cn)을 타원방정식 형태(y2=x3+(An-Bn)x2-AnBn)로 바꿀 수 있다고 발표했다. 프라이가 만든 방정식 덕분에 수학자들은 타니야마-시무라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쓰는 데 필요한 책을 선별하고,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책을 순서대로 정리한 셈이다. 만약 기존 서고에 새로운 책을 추가한다면, 별로 눈에 띄지 않아 새 책의 역할을 확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정리된 서고에 놓은 새 책은 쉽게 역할을 파악할 수 있다.예컨대 에탄올을 생산하는 ... ...
- [과학뉴스]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온갖 별들의 역사를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우주 도서관’으로 들어가는 열쇠인 셈이지요.함께 연구를 진행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카스텐 단즈만 교수는 “중력파의 검출은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눈을 얻게 된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빨리 자라는 원숭이의 슬픈 사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교수는 “수컷들이 자신의 짝짓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벌이는 일종의 군비 경쟁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동물행동학’ 4월호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우주여행 전성시대? ‘솔라 세일’에 맞서는 전자기장 돛단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세일’도 태양풍의 고에너지 입자를 받아 우주선을 추진한다. E-Sail은 전자기장 돛단배인 셈이다.E-Sail은 솔라 세일을 비롯한 기존 추진 시스템과 달리 태양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져도 가속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솔라 세일은 5AU(1AU=1억4960만km, 지구 중심에서 태양까지 거리)를 간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목표물에 맞고 반사된 음을 감지해 위치와 거리 등을 알아내는 장비다. 수중 레이더인 셈이다. 그는 2마일(약 3.2km) 밖의 빙산을 탐지하는 데 성공했다.제1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뒤부터는 적군의 함정과 잠수함을 찾기 위해 수동 소나가 이용됐다. 수동 소나는 능동 소나와 달리 음파를 인위적으로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당시 학계는 ‘테러리스트에게 어떻게 하면 생물무기를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준 셈’이라며 연구진을 비판했다.이들이 보여준 사례처럼, 바이러스는 생각보다 쉽게 합성할 수 있다. 이 사실을 증명한 것도 합성생물학자들이었다. 유럽분자생물학기구(EMBO)의 과학정책분야 책임자인 미쉘 가핑클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