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캐릭터 스타일이 다르지만, 애니메이션 필터 기술에는 비슷한 원리가 적용돼 요. 바로 사진에서 눈, 코, 입을 찾은 뒤, 그중 한두 개의 특징을 골라 나와 닮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특징으로 바꾸는 거예요. 이때 ‘숫자’가 활용돼요. 컴퓨터는 사진을 숫자로 인식해요. 사진은 ‘픽셀’이라고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기후변화 분석한 물리학자들 노벨 물리학상 수상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올해는 기후를 수학으로 분석한 사람들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바로 클라우스 하셀만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연구소 창립자, 슈쿠로 마나베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조르조 파리시 이탈리아 로마 사피엔자대학교 교수입니다. 하셀만 교수는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에서 ... ...
- [기획] 부자 되기 3단계 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있어요. 반대로 유동성이 낮은 상품은 손해가 크고 현금화 하기도 어렵지요. 필요할 때 바로 쓸 수 있는 돈이 충분하면 유동성이 낮은 상품에 투자해도 좋지만, 그렇지 않다면 유동성이 높은 상품에 투자하는 것이 좋아요. 상품 설명서에 ‘중도 해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해 있으니 미리 확인해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단어를 못 쓸 경우를 대비해 고기를 연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친숙한 이름을 찾은 것이 바로 ‘웰던’이다”고 말했다. 영어 ‘웰던(well done)’은 은어로 ‘고기를 못 먹는 사람이 먹는 고기’라는 뜻도 있다. 이 CTO는 배양육이 고기의 모사품이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고기로 인식되길 바랐다. “실제 ... ...
- 역사가 된 실패, 과학자의 망한 연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기사 바로가기 ☞ 미생 과학자들의 '망한 실험' 기존의 통념을 뒤엎고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 과학자, 뛰어난 기술로 사회를 풍족하고 안전하게 만든 과학자까지, 인류의 역사에 이름을 새긴 위대한 과학자들은 수없이 많다. 사실 그들의 업적 뒤에는 우리가 알지 못했던 실패담인 ‘흑역사’ 또한 ... ...
- 3750m 질주의 과학 활주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입 모아 칭찬하는데 시공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에도 힘쓴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 순간 바로 옆의 제4활주로에 비행기가 미끄러지듯 ‘터치다운(touch-down)’했다. 이 팀장은 “부드러움이 느껴지시나요”라고 농담을 던지며 파안했다.인천국제공항공사 건설 초기부터 함께한 이 팀장은 국내에서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있었습니다. 초점을 알 수 없는 눈이었지만 저와 눈이 마주치고 있다는 건 느낌으로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저는 문명의 아이가 바키타에게 저의 존재를 발설할 거라 생각했지만 그러지 않았습니다. 저를 가만히, 그렇게 가만히, 오래도록 가만히 지켜보기만 했습니다. 눈 한번 깜빡이지 않고 ... ...
- [현장취재➋] 국가를 지키는 수호자들을 만나다! 국방과학기술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체험해 보기 위해서인데요. 매니저 리를 따라 국방과학기술존으로 가 볼까요? “이게 바로 대한민국의 흑표라고요?”국립과천과학관 1층 미래상상SF관에 위치한 국방과학기술존에 들어서자 실물 크기의 K2 전차가 눈에 띄었어요. K2 전차는 우리나라 육군의 주력 전차로, 4.2m 깊이의 물속에서도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곡선을 그리며 솟아오르다가 땅으로 떨어지는 것을 본 적이 있나요? 이러한 곡선을 바로 포물선이라고 해요. 이번 시간에는 포물선 운동을 이용한 축구 게임을 만들어요! 실전코딩 준비하기포물선 운동 이해하기 ‘포물선 운동’은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중력’ 탓에 하늘로 날아오른 ... ...
- [특집] 세상을 바꾼 10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숫자 10의 진가는 바로 10진법에서 드러나지! 인류 역사상 중요한 발명 중 하나는 10진법이라고 할 수 있어. 10진법이 없었다면 우리는 간단한 덧셈이나 뺄셈을 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써야 했을 거야. 어렸을 때를 떠올려 봐. 하나, 둘, 셋물건을 셀 때 손가락을 접으며 하나씩 셌지? 10이 넘으면 다시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