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지도는 몇 가지 색으로 칠할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빨간색으로 칠하기 시작했는데, 방금 전 일본을 빨간색으로 칠하지 않았던가!다행히 나머지 세 나라가 모두 중국에 인접하지 않아 중국을 빨간색으로 칠하는 데 무리가 없다. 오호, 지도에 나타난 나라가 10개라고 해서 반드시 10가지색이 필요한 건 아닌가 보다.그렇다면 지도에서 인접해 있는 ... ...
- 책 속에서 꿈을 찾아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공부에만 몰두했다. 그 결과 수학, 과학 성적은 전교 450여명 중에 1~2등을 다툰다. 하지만 나머지 성적은 3등급에 머문다. “먼저 모든 내신 성적을 1등급에 맞추도록 해. KAIST는 성적만으로 가는 게 아니야. 입학사정관제로 갈 수 있어. KAIST가 원하는 인재상은 어떤 모습일 것 같니?” KAIST는 명실상부한 ... ...
- 6층 아파트의 비밀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순돌이의 자리가 확정됩니다. 마지막으로 희경이는 예은이 바로 뒷자리라는 문장에서 나머지 자리를 모두 알 수 있습니다. 이달의 퍼즐 6층짜리 아파트에 한 층에 한 명씩 6명의 아이들이 살고 있습니다. 다음 글을 보고, 1층부터 6층까지 누가 살고 있는지 순서대로 아이들을 찾아보세요.(3층이 ... ...
- 수학 공부의 적극적인 확장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각도 분할로 황금비에 대해 다시 조사를 해봤습니다. 하나는 안을 정확히 4분할한 원과 나머지 하나는 황금비의 비율로 180도를 분해해서 원을 4개로 나눴습니다. 이번에도 친구들에게 조사한 결과 정확한 4분원이 83%, 황금원이 17%를 차지했습니다. 이 두 개의 조사들을 통해 우리가 꼭 황금비를 ...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퍼지며 두 그룹으로 나뉜다. 상어가 목표로 삼은 물고기 한 마리를 계속 쫓는 동안 나머지 물고기는 다시 하나로 뭉친다. 목표 물고기도 이 무리에 섞이면서 상어는 목표를 잃고 만다. 이런 이유 때문일까? 물고기를 잡아먹는 상어와 돌고래는 자신들도 떼를 지어 이들을 공략한다. 한 마리만 공격할 ... ...
- '마르코 비온디갬'의 일기 예보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기상청으로부터 일일 특별 기상 캐스터로 임명받았다. 그런데 이게 웬일? 너무 긴장한 나머지 딸꾹질이 나오기 시작했다.“지금부터 일기 예보를, 딸꾹! 중국에 있던 저기압이 점점 동쪽으로, 딸꾹! 서쪽은 너무합니다. 딸꾹!”무슨 말일까? 결국 썰렁홈즈는 일기 예보는 수수께끼가 돼 버렸다 ...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닮은 작품부터 추상화를 연상케 하는 작품까지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을 감상해 보자.✽나머지 작품은 http://eros.usgs.gov/imagegallery/에서 볼 수 있다. [한 줄기 붉은 빛 커다란 붓에 붉은색 물감을 묻혀 대담하게 한 획 그은 듯하다. 실제로는 구름과 빛의 합작품이다. 캐나다 록키 산맥의 좁은 계곡에 ...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사실 뇌 안에는 약 1조 개의 세포가 있다. 뉴런은 뇌세포의 10%에 불과한 셈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90%는 어떤 세포일까. 바로 신경교세포다. 그런데 뉴런에 가려 별 볼 일 없는 존재였던 신경교세포가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천재의 비밀, 돌기교세포신경교세포의 영어 이름인 글리아(glia)는 ... ...
- 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등 4개 지역 5명의 현대인의 게놈과 비교해 봤다. 그 결과 아프리카인을 제외한 나머지 현대인의 게놈에서 네안데르탈인 고유의 유전자가 1~4% 정도 발견됐다.분자유전학을 이용한 고인류학에서는 약 20년 전부터 미토콘드리아나 성염색체의 특정 유전자(이를 ‘마커 유전자’라고 부른다)가 지역별로 ...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과학동아 l2011년 03호
- 꿈틀거리며 움직입니다. 최종적으로 일부(20% 정도)가 말라 죽으며 얇은 기둥을 만들면 나머지 세포가 위로 올라가 껍질이 딱딱한 포자가 돼 사방으로 퍼지죠. 그 뒤 환경이 좋아지면 포자를 깨고 아메바가 기어 나옵니다.저희는 주변의 박테리아를 잡아먹고 사는데 그 가운데 일부를 남겨둔 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