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이상구 성균관대 입학처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동아리 활동, 독서 활동 등을 평가해 전공과 관련한 학생의 관심과 열정을 평가한다. 끝으로 잠재역량은 ‘자기주도성’과 ‘발전가능성’으로 구분해 평가하며, 리더십을 비롯해 봉사활동, 성실성, 공동체 의식 등 인성적인 측면도 함께 고려한다. 이 입학처장은 “최대한 다양한 학생들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모으고 있는 듯한 모습이거든요. 하지만 무엇보다 개구리 발가락과 닮은 건 열매예요. 끝이 뾰족한 열매는 3~4 갈래로 갈라져 개구리의 앞발가락과 닮았답니다. 올 봄, 개구리발톱을 발견한다면 그 모습을 자세히 들여다 보세요. 어떤 부분이 개구리의 발가락과 닮았나요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팔씨름을 할 때는 손을 무조건 꽉 쥐는 것보다 넓은 면적을 감싸 쥐듯이 쥐고 손가락 끝에 힘을 줘 ‘잠그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손이 클수록 유리한 셈이다. 소위 ‘통뼈’가 팔씨름을 잘한다는 말도 항상 맞는 것은 아니다. 뼈가 두꺼운 사람일수록 전완근이 두껍게 발달할 수 있지만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상에 약 5m 간격으로 구멍 두 개를 파고, 땅으로 내려가면서 점점 그 간격이 벌어져 끝 부분에서는 둘 사이가 멀리 떨어져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구멍을 각각 주입정과 생산정이라고 부르는데, 주입정으로 넣은 물이 지열에 의해 뜨겁게 달궈지면 생산정으로 빼낸다. 저수지 한쪽에서는 물을 ... ...
- [Origin]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연구팀은 해마에서 새롭게 생성되는 뉴런은 나이가 들면서 급격히 감소하지만, 성장기가 끝난 뒤에도 계속 생성된다는 결론을 내렸다.doi:10.1016/j.stem.2018.03.015연구팀은 또 뉴런의 생성량이 급감하면서 혈관의 생성(angiogenesis)도 줄어들고, 결국 수많은 기억을 저장할 수 있는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가까이 연을 띄우고, 번개가 친 직후 손가락을 구리 열쇠 근처에 가져갔다. 그는 손끝으로 전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데 성공했다. 이탈리아의 생리학자인 루이지 갈바니는 생체전기를 발견해 1791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그는 개구리를 해부하던 중 칼이 개구리 다리에 닿자 근육이 꿈틀거리는 것을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잠깐 포기하고 최 박사의 말이 다 끝날 때까지 기다렸다.한참 만에 피곤한 대화는 겨우 끝이 났다. 김 박사의 머리 속은 다시 흙먼지와 매연으로 가득 차게 되었다. 김 박사는 우선 책상을 깨끗이 치웠다. 그리고 빈 종이 하나를 꺼냈다. 김 박사는 거기에 1, 2, 3 이라고 숫자 세 개를 썼다. 다시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답안을 쓰듯이 공부했다. 수능시험 공부와 수리논술 공부를 같이 한 셈이다. 그렇게 끝까지 수리논술과 수능시험을 함께 준비했고, 결국 연세대의 수능 성적 조건을 충족해 입학할 수 있었다. 염 씨는 “주변 친구들 중에는 수능시험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해서 조건부 합격을 하고도 수능 결과 ...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수학자 알레산더 소이퍼 교수가 이 문제에 관한 글을 쓴 사람을 일일이 연락해 추적한 끝에 출제자를 밝혀냈지요. 바로 1950년 당시 만 18세로 미국 시카고대학교 수학과에 갓 입학한 에드워드 넬슨이었습니다. 뛰어난 학생이었던 넬슨은 3년만에 석사, 2년 만에 박사 학위를 받고, 1959년에 미국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범인이 남긴 단서,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지하기 위해 수분과 기름이 늘 분비되거든요. 그래서 물체를 잡거나 닿았을 때 손가락 끝에 묻어있던 기름 성분이 지문 모양으로 찍히는데, 이를 이용해 지문을 찾는답니다. 지문을 채취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스미스소니언 지문 감식 키트’에서는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인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