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2,13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반대방향으로 분사해 미르에 브레이크를 걸게 된다. 미르의 궤도 속도가 느려지면
고도
가 점점 더 낮아지기 때문이다. 처음 두번에 걸친 역분사는 각각 초당 7m의 속도로 미르의 속도를 늦추고 세번째 역분사는 초당 14m의 속도로 미르의 속도를 줄인다.마지막 역분사가 이뤄져 초당 17.3m의 속도로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낮아진 셈이다. 미르가 지구에 가까워질수록 공기와의 마찰이 커지기 때문에 점차
고도
가 낮아질 전망이다.러시아 총리는 1월 5일 우주정거장 미르의 활동을 중단하는 정부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당국과 관련업체들은 미르의 안전한 궤도 수정과 태평양상의 폐기를 위한 준비작업에 본격적으로 ... ...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독재체제의 비판이라는 무거운 테마를 더했다. 미야자키의 다양한 작품 중 하늘의
고도
감을 가장 잘 나타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일본에서 ‘라퓨타 신드롬’(왠지 모르게 하늘을 보게 되는 증상)을 일으키기도 했다.이웃의 토토로1988년작/극장용 장편/1시간 28분1960년대 일본의 농촌을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없었다면,지구도 달과 수성처럼 운석공 천지였을 것이다”라고 강조했다.일정한 속도와
고도
를 유지하는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은? 그리고 비행기가 왼쪽 날개를 틀어 올리고 오른쪽 날개를 내렸을때 비행기는 어떻게 될까?우선 비행기에 작용하는 힘이 어떤 것인지를 생각해보자. 지구에 있는 모든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있다가
고도
가 매일 조금씩 높아져 하지 때(6월 21일경)는 23.5°에 이른다. 하지 이후로는
고도
가 매일 조금씩 낮아져 추분(9월 23일경)이 되면 다시 지평선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춘분부터 추분까지 해는 지평선 아래로 내려갈 수가 없어 6개월간 낮이 계속 이어지고, 마찬가지로 추분부터 이듬해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볼 때 금성이 해에서 동쪽으로 가장 멀어지는 날이다. 그래서 해가 진 직후 금성의
고도
는 약 40°나 될 만큼 높아서 밤 9시 반경에야 지평선 아래로 사라진다. 이때 망원경으로 금성을 본다면 거의 반달모양이다. 밝기는 -4.5등급.금성은 한밤중 밤하늘에서는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금으로부터 1천7백여년 전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정리에 해당하는 구고술이라 불리는 수학원리가 있었다. 또한 동양수학고전에는 수학문제를 ... h : l₁ = (x-h) : y, h : l₂ = (x-h) : (y+d)라는 비례식이 성립한다. 이 두식을 y에 대해 정리하면 해의
고도
x = $\frac{hd}{{l}_{2}-{l}_{1}}$ + h를 ...
물로 가는 꿈의 자동차 실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효과적인 촉매 시스템 모방을 비롯해,원자 단계에서부터 촉매를 설계하고 합성하는
고도
의 기술을 이뤄내야 한다.이는 모든 기초과학의 토대 위에 꾸준한 투자와 노력에서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다 ... ...
전쟁 승세 뒤바꾼 촉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승리를 안겨주었다. 독일의 탱크와 폭격기가 유럽을 휩쓸었을 때 제2차 세계대전이
고도
로 기계화된 전쟁이 되리라는 것은 명백해졌다. 연합군은 고품질의 가솔린을 다량 공급해야 하는 탱크, 전투기, 폭격기 등을 필요로 했고 이 연료를 공급하느라 미국의 석유 산업은 한계에 도달했다.그러나 19 ... ...
2. 오염된 지구를 되살리는 첨병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더 높은
고도
로 비행하는 경향이 있었다. 오존(O₃)의 농도가 높은 성층권에 해당하는
고도
4만피트(약 12km) 이상을 비행하는 항공기는 오존을 함유하는 공기를 에어컨을 통해 기내로 공급했고, 이로 인해 인체에 해를 끼치게 됐다.결국 항공기내의 오존 농도를 인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일정 농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