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지"(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 3가지 혁신의 열쇠... 사람들은 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글로벌 IT기업인 애플이 2024년을 목표로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를 개발하고 있다는 지난해 12월 21일 영국 로이터 통신의 보도가 전 세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애플이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음에도 전 세계 증권 시장이 요동치고, 국내에선 현대자동차가 애플카 제조 파트너가 될 ... ...
- 아말과 톈원 1호, 화성 하늘을 두드리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를 모두 탑재하고 있는 게 특징이다. 궤도 진입, 화성 착륙, 탐사 3가지를 모두 한 번의 임무로 완성하는 화성 탐사 임무는 톈원 1호가 처음이다. 중국이 이렇게 한꺼번에 모든 임무를 수행하려고 하는 이유는 화성 주변을 도는 자국 위성이 없기 때문이다. 화성에 무사히 로버를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읽고 공유할 수 있는 또다른 배경에는 우리가 사람의 얼굴색, 동작, 처한 상황 등 여러 가지를 복합적으로 고려한다는 특성도 있다. 흔히 누군가의 표정을 보고 감정을 인식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주변 정보가 감정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뜻이다. 이는 사람들이 특정한 상황에서 보편적인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정신 혼미하게 만드는 해롱해롱 호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딱지의 이름을 잘못 부르고 있었습니다. 딱지는 한숨만 나왔습니다.“방법은 한 가지밖에 없네. 우리 둘이 내기를 해서 이기는 쪽이 코딱지 대원을 갖기로 하세!”뜻밖의 말에 루띠가 화를 냈습니다.“아니, 거기서 왜 또 내기해요? 방망이는 이제 내 거라니까요!”해롱 호 선장은 손을 휘휘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하죠. 그리고 딥러닝의 단점 중 하나가 지속적으로 학습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한 가지 일을 배우고 또 다른 일을 배우면 전에 배웠던 일의 효율이 크게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하죠. 앞으로 이런 문제를 행렬 개념을 적용해 풀어나가면 더 나은 이미지 인식 AI가 등장할 겁니다. 합성곱신경망은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합니다. 서로 알거나 모르는 사람의 수가 10명일 때는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가 수백억 가지로 늘어납니다.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은 r과 s가 커지면 그 어떤 성능 좋은 컴퓨터를 사용해도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수학자들은 구체적인 램지 수를 구하는 대신에 램지 수가 ... ...
- [기획] 다양한 색으로 칠해 보자, 다색 램지 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오다 보니 에르되시는 다른 방식으로 접근하기로 합니다. 각 변을 무작위로 칠할 때 한 가지 색으로 이뤄진 부분 완전그래프가 생기지 않을 확률이 얼마인지 계산하는 것입니다. 이를 ‘확률적 방법론’이라고 부릅니다. 계산한 확률이 0보다 크면 부분 완전그래프가 없도록 칠할 수 있다는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나눈 대화를 예로 들어 설명했어요. 강 교수님은 “오늘 대화에서 중요한 단어 네 가지를 꼽아 보면 사회학과 수학, 물리학, 경제학일 것”이라며 “각각의 단어를 몇 번 말했는지를 확인하는 일도 데이터를 정형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행렬을 이용하면 대화에서 나온 비정형 데이터를 ... ...
- [과학뉴스] 이 뱀이 나무를 오르는 비법 ‘셀프 올가미’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움직이는 S자, 등을 위로 쭉 빼서 추진력을 받는 형태 등 뱀이 이동하는 방식은 몇 가지로 정형화돼 있다. 그런데 최근 몸을 올가미처럼 만들어 기둥을 타는 새로운 이동방식이 보고됐다. 브루스 제인 미국 신시내티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갈색나무뱀(Boiga irregularis)이 몸을 올가미처럼 만들어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저장하지 않는다. DNA를 구성하는 염기는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등 총 4가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1개 비트에 총 4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4진법 데이터 저장장치를 구현하는 셈이다. 단순계산해, 10개의 비트(DNA 염기쌍)에 약 100만 개(410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2진법을 쓰는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