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료
의술
메디컬
메디칼
medical
d라이브러리
"
의학
"(으)로 총 2,407건 검색되었습니다.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11
각막질환은 각막 내 혈관이 비정상적으로 과대형성 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현재
의학
기술로는 치료가 매우 힘든 난치성 질환의 일종이다. 때문에 시르나사는 혈관형성 명령을 인식하는 혈관세포 수용체 단백질의 합성을 방해하는 siRNA를 세포내에 직접 주입해 과도한 혈관 형성을 제어하도록 ... ...
생각만으로 컴퓨터 게임한다
과학동아
l
200411
환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 게임을 하는데 성공한 사실이 지난 10월 8일 열린 미국 물리
의학
및 재활협회 연례총회에서 발표됐다.이 환자는 뇌에 1백여개의 전기 신호 감지기를 심어 외부 컴퓨터와 연결했다. 이 환자가 뇌에서 마우스를 움직이라는 신호를 내리자 실제로 마우스가 움직인 것이다. 이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11
정수한 것이며 발암물질도 포함돼 있다는 점이 올해 초 밝혀지면서 망신을 샀다.
의학
상은 컨트리 음악이 자살충동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미 어번대 제임스 군들라흐 연구팀이 받았다. 연구팀은 미국 내 49개 도시의 자살률을 비교한 결과 라디오에서 컨트리 음악이 자주 방송될수록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질병을 진단하고 병균이나 오염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미래의
의학
과 환경분야를 혁신시킬 것이다.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분야다. “오늘날 질병을 고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는 망치로 고장 난 시계를 수리하려고 하는 것과 같다”는 독일 ‘슈피겔’ 지의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인공태반은 태아연구 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태아
의학
은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이다. 태아 자체가 접근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의약품 설명서를 읽다보면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는 문구를 흔히 볼 수 있다. 약이 태아나 산모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 ...
2004 노벨상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411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운 것이다. 올해 노벨 물리∙화학∙생리
의학
상을 받은 과학자들과 그들의 업적을 살펴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4 노벨상 따라잡기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2004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11
생리
의학
상을 수상한 크리스티안 누슬라인-볼하르트 이후 여성으로서 9년 만에 노벨
의학
상을 받아 여성 과학자의 명예를 드높였다.냄새를 맡는 메커니즘냄새 분자가 자신과 맞는 후각 수용체에 달라붙으면 수용체는 이 신호를 후각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한다.냄새 분자는 여러 후각 수용체와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이 최근 연구가 한창인 2차 트랜스듀서다. 올해 노벨 생리
의학
상의 주제로 화제가 되고 있는 후각수용체를 예로 들어 설명해보자.후각세포표면의 후각수용체분자는 냄새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므로, 이들 분자를 이용하면 수많은 냄새를 인지하고 구별해 내는 인간의 코를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11
연구에 대한 기대도 갖고 있다.그렇다면 이공계 전공자, 그 중에서도 생물이나 약학,
의학
분야 전공자가 타전공자에 비해 월등히 유리하진 않을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최기혁 박사는 “꼭 그렇지 않다”며 “2년이라는 훈련 기간을 거치기 때문에 국문학을 전공한 사람도 충분히 우주인이 될 수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11
트는 메커니즘을 비행체에 도입한다면 굉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올해 노벨
의학
상은 냄새를 맡는 후각 수용체와 후각기관을 연구한 학자들에게 돌아갔는데 후각센서분야에도 곤충이 이용된다. 곤충은 다른 동물들에 비해 여러종류의 페로몬을 감지하는 능력이 탁월하고 더듬이의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