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아래"(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물리]빛이 꺾이는 원리과학동아 l200812
- 서울대 물리교육과를 졸업하고 현재 메가스터디에서 물리와 과학 논·구술 수업을 하고 있다. 개념을 정확하고 깊이있게 이해하는 능력과 다수 개념을 통합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과학 학습에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빛이 꺾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스넬의 법칙을 통해 빛의 굴절을 알 ... ...
- 삑~! 자연재해 경보 발령!어린이과학동아 l200812
- 옛날에는 지진, 태풍, 가뭄 등의 재해가 일어나면 왕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 용서를 빌었다. 하늘이 노해 벌을 내렸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옛날 사람들에게는 자연재해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신비한 사건이었다.오늘날 우리는 지진이나 태풍이 천벌이 아닌 자연 현상에 불과하다는 사실 ...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과학동아 l200812
-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지구에서 약 400km 상공에 떠 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와 비슷하니, ISS는 ‘우주’라는 단어에서 느껴지는 만큼 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은 아닌 셈이다.하지만 ISS에서는 단 1초를 숨쉬기 위해서, 물 한 모금을 마시기 위해서 수많은 기계가 작동해야 하고 그만큼 비 ...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과학동아 l200812
- 겨울에 접어들면 첫눈이 내릴 날을 기다리게 된다. 소매 위에 내린 하얀 눈을 자세히 보면 다채로운 6각형 모양이다. 도대체 어떻게 물이 얼면서 이렇게 정교한 모양을 만들어낼까. 눈 결정의 비밀은 그 구성 물질인 물 분자, 즉 H2O의 구조 때문이다. 광물인 석영도 마찬가지다. 석영 원석을 보면 투 ...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과학동아 l200812
- 지난 10월 13일 강화도 ‘매화마름 군락지’, 강원도 ‘오대산국립공원습지’, 제주도 ‘물장오리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새로 지정 등록됐다. 이로써 우리나라 람사르 습지는 모두 11곳이 됐다. 제주도에서는 2006년 물영아리오름 습지가 람사르 습지로 등록된 이후 두 번째 쾌거다. 람사르 습지 하 ...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과학동아 l200812
- “선생님, 오늘 날이 맑으니 별 보러 가시겠네요?” 교실 창밖으로 청명한 하늘이 보이는 날이면 선생님의 눈빛을 먼저 읽은 학생들이 이구동성으로 하는 말이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사인 필자에게 천체사진 찍기는 학생들에게 보여 줄 생생한 학습 자료를 직접 만드는 업무의 연장일 뿐만 아니 ...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과학동아 l200812
- 이화여대 과학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과학교육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EBS 수능방송과 엠베스트(www.mbest.co.kr) 온라인강의를 통해 과학의 참재미를 일깨워주려 노력하고 있다. 또 경인교대, 단국대, 건국대에서 강의하고, KBS2 , SBS 등에 과학실험전문가로 출연하며, MC로서 Science TV ... ...
- 길 위의 공포, 로드킬어린이과학동아 l200812
- 사람들은 말한다. 길이 생기면 고향에 더 빨리 갈 수 있을 거라고. 또 사람들은 말한다. 길이 넓어지면 좀 더 편안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을 거라고. 하지만 지금 풀숲에서 나와 새로 생긴 이 길 위를 건너는 야생동물은 발 끝에 닫는 낯선 감촉이 두렵기만 하다. 이 작은 생명은 멀리서 눈 깜짝할 ... ...
- 표면장력이 지배하는 세상과학동아 l200811
- 공부의 주체는 학생이며 스스로 질문하고 답변할 때 진정한 공부가 이뤄진다고 믿는다. 학생들이 이런 능력을 갖출 때까지 끊임없이 자극하고 격려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표면장력은 고등학교 화학I 중 물 단원에서 다뤄지는 소재로 2008학년도 성균관대 수시 2학기와 정시전형에서 ... ...
- NASA 50주년 하이라이트 10과학동아 l200811
- NASA 50년은 우주를 향한 도전의 역사다. 미국 최초 인공위성 익스플로러부터 최근 화성에서 물을 발견한 탐사로봇 피닉스까지, 우주개발 역사에 큰 획을 그은 NASA의 10대 사건을 만나보자.밴앨런대 발견한 미국 최초 인공위성미국과 구소련의 냉전이 한창이던 1957년 10월 4일. 구소련은 세계 최초 인공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