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뉴스
"
기존
"(으)로 총 1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배 빨리 급속 충전되는 마이크로건전지 등장
과학동아
l
2013.06.12
거리가 짧기 때문에 충전과 방전이 빨리된다. 이렇게 만든 마이크로전지의 출력밀도는
기존
초소형전지보다 2000배 높았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일반 전자제품을 위한 전지로 상용화 되면 같은 크기에서 10배 이상의 전력을 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킹 교수는 "현재 몸에 착용해야하는 ... ...
"나노기술은 타 분야와 오케스트라처럼 협연해야 빛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트레이드 마크는 ‘균일한 나노입자’다. 그는 2004년 균일한 크기의 나노 입자를
기존
방법보다 1000배 저렴하면서도 양은 1000배 많이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논문은 ‘네이처 메태리얼’에 실리고 1200번 이상 인용될 만큼 획기적인 연구로 인정받으며 나노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 ...
도로를 덮는 새까만 아스팔트도 '친환경적' 바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중온 아스팔트 포장 공법의 핵심은 ‘중온(中溫)’으로 아스콘을 생산한다는 것.
기존
에는 160도 이상의 온도에서 아스팔트와 골재를 가열했지만, 중온 아스팔트 공법에서는 120~130도의 온도로 가열한다. 건기연 도로연구실 황성도 박사팀이 개발한 ‘중온화 첨가제’를 넣어 아스팔트가 낮은 ... ...
구글 따라한 iOS7… 팀 쿡 “아이폰 이후 최대 변화”
동아일보
l
2013.06.12
수 있는 제어센터가 등장한다. 배터리 소모를 줄이기 위해 일부 기능에만 적용했던
기존
의 멀티태스킹 기능은 모든 앱(응용프로그램)으로 확대됐다. 스마트폰 화면을 오른쪽으로 쓸었다 다시 왼쪽으로 쓸면 여러 앱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등장한다. 이 둘은 안드로이드의 대표적 ... ...
이게 신문이야? 태양전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6.11
상용화 가능성을 제시한 것”이라며 “유기태양전지의 최대 단점인 발전효율도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만큼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나노분야 권위지 ‘나노스케일(Nanoscale)’ 최신호에 실렸다 ... ...
극한 상황서도 위험물질 감지하는 그래핀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1
붙은 것을 산화그래핀, 여기에 햇빛을 쪼여 환원시킨 것을 환원그래핀이라고 한다.
기존
에 개발된 가스센서는 금속 산화물이나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했는데,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작동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광섬유 한쪽 끝을 산화그래핀이나 환원그래핀으로 코팅해 ... ...
애플, 새 모바일 OS ‘iOS7’ 공개…무엇이 달라졌을까
동아닷컴
l
2013.06.11
부터는 모바일 환경에서도 쓸 수 있다.음성 인식 기능인 시리(Siri)도 보다 강화됐다. 또
기존
아이폰 운영체제와 달리 iOS7에는 한글 자판인 '천지인'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애플은 광고를 기반으로 무료로 실시간 스트리밍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아이라디오도 공개했다. 그러나 아이라디오는 저작권 ... ...
전문대 취업률 80%이상으로 높인다
동아일보
l
2013.06.11
숙련기술을 보유한 인력을 산업기술명장으로 양성하는 곳이다. 이와 더불어 시도별로
기존
전문대 1개교씩, 모두 16곳을 평생직업교육대학으로 운영키로 했다. 직장인이나 실직자가 다니면서 평생직업교육을 받도록 하자는 취지. 전문대생의 해외 현장실습이나 해외 취업을 돕는 ‘세계로 ... ...
SK하이닉스, 초고속-고용량 모바일칩 세계 첫 개발
동아일보
l
2013.06.11
관계자의 설명이다. 속도 측면에서도 초당 1600Mb(메가비트)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존
LPDDR3를 훨씬 능가하는 초당 2133Mb 속도를 자랑한다. 초저전압인 1.2V의 동작전압을 갖춰 LPDDR2 대비 동작 속도는 2배로 개선하고도 대기전력 소모는 10% 이상 줄였다. 진정훈 SK하이닉스 마케팅본부장(전무)은 “ ... ...
급발진 걱정없는 전기차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고갈과 기후변화 문제 등으로 인해 친환경 차량 개발로 방향을 틀 수 밖에 없다”며 “
기존
의 내연기관차와 더불어 여러 종류의 친환경차가 공존한다는 개념으로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필수 교수도 “단거리용, 도심지용 등 ‘세컨드카’의 개념에서 전기차가 보급돼야 한다”며 ... ...
이전
1176
1177
1178
1179
1180
1181
1182
1183
11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