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관
주동
자아
주체
주모
스페셜
"
주도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개발은 물론 상품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고 위원장은 “모바일 플랫폼은 미국이
주도
하고, 핵심 부품기술은 여전히 일본이 강세를 보이며, 제조는 중국에 추격당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갈 길은 창의성을 근거로 한 고부가가치 제조업”이라고 지적했다. 산업사회에서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정부에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수백 억~수천 억원이 투자되는 분야다보니 정부
주도
로 시작해야 다른 나라와의 기술격차를 따라잡을 수 있겠죠.” ● “따라잡는 정책 줄이고 미리 시작하는 정책 도입해야” 바이오화학 분야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정책은 투자만이 아니다.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연 매출 3조~5조 원 규모의 제약사를 만들자는 정책을 기획한 적이 있다. 물론 M&A는 정부
주도
가 아니라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원칙은 지켜야 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여러 외부 영향 때문에 자연스럽게 M&A가 이뤄질 것으로 봤지만 아직은 그런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 ...
바이오협회가 BIO KOREA 참가 못하는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11.07.13
이름을 내건 바이오행사는 대부분 그 나라의 협회가 주관한다. 이제 와서 협회가 행사의
주도
권을 갖겠다는 건 아니다. 주관기관 중 하나로 참여해 기획 단계에서 기여하고 싶은 거다.” -어떤 점에서 기여할 수 있나. “비즈니스 성격이 강한 박람회다. 273개 바이오기업이 모여 있는 협회가 그동안 ... ...
세계 최대 바이오박람회 키워드는 ‘바이오시밀러’
동아사이언스
l
2011.07.12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투자설명회에 참석한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정부
주도
로 20년간 성장했던 생명과학 분야 연구성과가 이제 빛을 보면서 국내 바이오가 산업화 단계로 진입한다는 사실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했다. 이어 그는 “지난해 임상 수행 건수로 한국은 ... ...
“이제 ‘블록버스터’ 시대는 갔다…하지만 정부는…”
동아사이언스
l
2011.06.08
활발한 미국을 보면 오랜 경험과 역량을 쌓은 벤처캐피탈이나 투자자들이 가치 판단을
주도
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김성호 과장은 정부의 특허정보 DB 구축 사업을 언급했다. ▽김성호 과장=기업에 필요한 특허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는 게 중요하다. 특허청은 지난해 블록버스터급 바이오의약품 21개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이익을 대변하는 연구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생물자원 확보나 줄기세포 연구 등 국가
주도
로 해야 할 연구가 BT 분야에 유독 많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BT 연구 대부분을 관리하는 국립보건원(NIH)은 국회에서 예산 증액 필요성을 연설해 파격적인 지원을 이끌어내기도 하는데 우리는 전체 R&D 예산 ... ...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제각각 바이오 연구를 지원하고 관련 정책도 추진하고 있다. 조 대표는 정부가
주도
해서 전자, 정보통신(IT) 분야를 키웠듯이 바이오도 한시적으로 전담 부처를 만들어 중점 육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내 바이오 산업 규모는 130조원 수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1.5%에 불과하다. 선진국은 ... ...
“한국 BT 기초 연구 세계적 수준, 산업화는 아직 미흡”
동아사이언스
l
2011.01.25
연구 인프라를 지원해야 도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나라는 핵심인프라를 국가
주도
로 관리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종합적인 계획을 갖고 꾸려가야 합니다. 지난해부터 추진한 신약 개발 관련 다부처 공동 기획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권 교수는 이를 위해 정부 출연연구소의 미션을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발전하는 분야다. BT와 나노기술(NT)의 융합연구, 유헬스 기술 개발 등 거대한 트렌드를
주도
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이 산적해 있다. 국과위가 출범하게 되면 국가 R&D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과위 출범과 맞물려 생명연도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다. ▽선경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