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제
문제
화제
테마
제목
목표
과제물
스페셜
"
과제
"(으)로 총 1,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부 R&D, ‘High Risk, High Return’에 집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22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공무원 정책 실명제가 필요하다. △바이오에 집중 투자하고 연구
과제
를 통합 관리하는 ‘바이오청(廳)’ 신설을 고려해야 한다. 조중명 대표이사는 - 1969년~1973년 서울대 동물학과 학사 - 1973년~1975년 서울대 대학원 동물학과 석사 - 1975년~1977년 한국원자력연구소 ...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1.05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 지경부에서는 뇌 연구와 IT를 융합해 5년 안에 사업화할 수 있는
과제
를 준비 중이다. 또 앞으로 의료기기 개발을 강화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과의 상생을 위해 내년 상반기 BT분야 중소기업 R&D 지원 프로그램을 고민하고 있다. ▽박영훈=터놓고 이야기하고 협조하는 분위기가 ... ...
“연구
과제
비 산정, ‘달러’로 국제화 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1.09
백융기 회장의 ‘이것만은 꼭!’ △국제 기축통화인 ‘달러’를 기준으로 국가 연구
과제
비를 산정하자. △국가단백질연구센터 설립 등 프로테오믹스 분야의 국가적 육성이 필요하다. 백융기 회장은 - 1971년~1975년 연세대 생화학과 학사 - 1977년~1979년 국방과학연구소 생의학연구실 연구원 - 1979년~198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8.24
투자하며 그것도 긴 안목으로 오랜 기간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바이오 관련 연구
과제
는 실용화 수준에서 보기에는 초기단계인 원천 기술에 대한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더러는 바로 산업화 할 수 있는 품목도 있지만 대체로 오랜 시간 ‘뜸’을 들여야 하는 연구가 더 많다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받지 못 했다면 아이디어가 있어도 시도조차 못 했을 겁니다.” 오 교수는 1997년부터 창의
과제
에 선정돼 매년 최소 2억 원의 연구비를 받고 있다. 오 교수는 “한국전쟁 이후 최빈국에서 우리나라가 지금 자리에까지 오를 수 있었던 건 과학기술에 투자를 많이 했기 때문”이라며 다시 한 번 국가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해 연구비의 융통성을 보장했으며 △평가위원 10명 모두를 농·생명분야 전문가로 위촉해
과제
책임자들이 연구평가에 수긍하도록 했다. 사업단의 화려한 연구 성과의 배경에는 이런 제도적 뒷받침이 있었던 셈이다. ● 감자생산성 높여 식량문제 해결이 목표 정 단장은 해외 식물자원을 모으는 일을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선임환경관, 국장급 교육훈련(중앙공무원교육원) 2006. 3 ~ 2007. 3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국정
과제
국장 2007. 3 ~ 2008. 3 국립환경인력개발원 원장 2008. 3 ~ 2009. 9 상하수도정책관 2009. 9 ~ 현재 국립생물자원관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지적했다. 나부터 알아야 친구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이 연구하고 있는
과제
가 국제 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있고, 연구가 완성되면 세계 과학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철저하게 아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과학자라면 세계 과학계 흐름을 철저히 파악하는 노력을 게을리 ... ...
“국가 R&D 효율 높이기… 정책연구시스템부터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05
기획능력이 떨어진다”며 “특히 개별 연구자가
과제
별로 연구비를 수주하는 연구
과제
중심제도(PBS)가 들어오면서 이런 상황이 더욱 악화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연구비가 많이 들지 않는 경우는 연구자 개인의 창의력을 인정해주는 게 맞지만 위험성이 높은 연구는 반드시 지원시스템이 ... ...
국가 신약개발 진두지휘할 협의회 생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3.16
맡았다. 이날 좌담회에서 좌장은 “부처간 공동기획(정책),
과제
선정(평가 포함),
과제
관리, 성과활용 측면에서 범부처 신약개발공동대응 방안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발의했다. 이에 따라 좌담회에 참석한 4개 부처 전문가들은 협의체 구성에 공동 대응키로 합의 했다. 또 좌담회에 참석치 않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