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술부대
술고래
오스트레일리아
술꾸더기
술꾸러기
술보
술푸대
뉴스
"
호주
"(으)로 총 2,025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심해질 것이란 전망이다. 그럼에도 전향적인 조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지난 9월 온실가스 배출규제를 완화했다. 미국은 난 2015년 체결한 파리 협약에서 지난해 탈퇴했다. 올해는 온실가스 주범인 이산화탄소와 메탄가스 배출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잇따라 내놨다. ... ...
국가 연구데이터 공유·활용 시범서비스 개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있다. 최근에는 유럽 최대 연구데이터 플랫폼인 ‘오픈AIRE’와도 연동됐다. 내년에는 ‘
호주
국립데이터서비스(ANDS)’와의 연계를 추진하는 등 국제 협력도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KISTI는 지난 5년 여 동안 국가연구개발(R&D)사업 수행 과정에서 생산되는 연구데이터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두 양자 사이의 얽힘 상태를 구현하는 기술이 속속 발전하고 있다. 쉐렌 베르노프스키
호주
양자광학및양자정보연구소 연구원은 “양자 네트워크를 구현하려면 더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양자얽힘 상태를 만드는 것과 함께 동시에 여러 곳에서 양자얽힘을 만들어 내는 것도 중요하다”며 ... ...
[이강운의 곤충記]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유칼립투스 먹는
호주
곤충
2018.12.12
자연이 가치라는 국민적 공감이 형성되어 있고, 일상에서 생태적 삶을 실천하는
호주
인들. 그들과 잘 어울려 함께 사는 생물들이 다채롭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고 있다. 각다귀과 똥파리과 집파리과 파리매과 점박이키다리파리 Condylostylus nebulosus (참조: 국명은 편의상 필자가 영명과 학명을 ... ...
기후변화의 공범 미국·러시아에 분노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 문구를 넣는 대신 ‘참고(Taking Note)’ 문구를 넣자고 주장했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호주
는 이와 관련해 침묵을 유지하고 있고, 이는 4개국을 지지하는 전략적인 방안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침몰 위험에 처한 몰디브도 이번 COP24에 참가했다. 로이터/연합뉴스 많은 ... ...
바비큐가 될 뻔한 비단뱀
팝뉴스
l
2018.12.11
제공 위는
호주
의 뱀 포획 전문가가 11월말 페이스북에 올린 영상을 캡처한 것이다. 바비큐 그릴 안에 카펫 비단뱀이 숨어 있었다. 대단히 길거나 크지는 않았는데 이 뱀이 화제를 모은 것은 아주 위험했기 때문이다. 잘못했다면 바비큐 신세가 될 뻔 했다. 퀸즐랜드에 사는 한 남자가 일요일 밤에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암 진단 시간을 혈액 한방울만 이용해 10분으로 줄이는 새로운 진단 기술이 개발됐다.
호주
퀸즐랜드대 화학과 매트 트라우 교수 연구진은 암세포와 정상세포의 DNA 차이를 이용해 암을 쉽고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4일(현지시간)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한파를 이기는 법, 우리 마음은 이미 알고 있다
2018.12.08
아시아 등 북반구 지역에서는 보편적인 현상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아프리카나
호주
등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는지는 아주 불분명 합니다. 기온이 올라가면 보통 인구가 증가합니다. 농업생산량이 증가하고 거주지가 확장되기 때문입니다. 바이킹 족은 아이슬란드와 그린란드에 ... ...
[영상]영국왕립학회가 뽑은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빛나는 태양과 완전히 가려진 태양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다음 혼성일식은 2023년 4월
호주
서부와 인도네시아에서 찾을 수 있다. 페트르 호라렉/영국왕립학회 제공 천문학 부문 준우승작 ‘오리온성운’. 색색으로 빛나는 오리온성운을 담았다. 오리온자리는 겨울밤 고개를 들어 남쪽 하늘을 ... ...
“이제 우리도 정지궤도위성 기술을 가졌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5
동경 128.2도, 적도 상공 3만6000km 정지궤도에 고정된 채 한반도를 비롯한 중국, 동남아,
호주
등 지구 절반면의 기상과 우주기상을 24시간 주시한다. 천리안 1호보다 공간해상도가 4배 향상된 고화질 컬러 영상을 10분마다(위험기상 시 2분마다) 지상에 전달한다. 태풍의 경로는 물론이고 강도, 지역별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