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뉴스
"
모양
"(으)로 총 3,895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번 세탁해도 끄덕없는 '스마트 섬유' 디스플레이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1
씨실로 전기발광점을 형성했으며, 두 실을 면을 섞어 짜 길이 6m, 폭 25㎝의 스카프
모양
디스플레이를 만들어냈다. 접촉감응형 섬유 키보드와 전원공급 장치에 연결할 수 있는 이 디스플레이에 전류가 흐르자 전기발광점에서 빛이 들어왔으며, 사용되는 전류가 제한적이어서 발열 현상도 크지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제공 소고기를 갈아서
모양
을 바꾸거나 오랜 시간을 들이지 않고도 소고기의 신선도를 정확하고 빠르게 알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융합기술원 이규빈 교수팀과 의생명공학과 김재관 교수팀이 공동으로 인공지능(AI)에 광 기술을 결합해 소고기 신선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어렵기 때문에 시뮬레이션 위주의 연구를 진행한다. 소자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소자의
모양
이 평면 구조에서 3차원 형태로 바뀌고 있는데 이같은 구조의 변화에 따른 소자 성능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다. 미래소자회로연구실은 최근 반도체 산업에서 필요한 기술 중 가장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 ...
서른 살 된 허블망원경 너무 힘들었나…"안전모드 진입"
연합뉴스
l
2021.03.09
마무리한 상태다. JWST의 주경은 6.5m로 허블(2.4m)의 2.5배에 달한다. 폭 1.3m 육각형
모양
반사경 18장을 배열해 주경을 구성하는데, 태양 차광판과 마찬가지로 접어서 발사한 뒤 우주에서 펼쳐지게 설계됐다. [NAS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
[화보]국민이 카메라에 담은 기상기후 사진 뽑아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위 거대한 쌍용오름 현상'. 쌍용오름 현상은 회오리바람을 동바하는 기둥이나 깔때기
모양
의 구름이 지면과 해면에서 하늘까지 닿아있는 현상을 뜻한다. 기상청 제공 신비로운 기상기후 사진과 영상을 뽑는 온라인 국민투표가 진행된다. 기상청은 9일 ‘제38회 기상기후 사진영상 공모전’ 온라인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나팔소리
과학동아
l
2021.03.09
악기로 사용된 나팔고둥의 내부 구조를 분석했다. 나팔고둥 꼭대기에는 둥ㅇ근 기둥
모양
의 막대로 구멍을 뚫은 흔적이 있었다. 나팔고둥을 악기로 활용하기 위해 형태를 변형시킨 흔적이다. 사이언스어드밴시스 (Fritz et al., Gilles Tosello) 제공 인류가 구석기 시대에 악기로 사용한 나팔고둥(Charonia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연구돼왔지만, 장치가 개발되더라도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에 한계가 있어 크기나
모양
등에 제약이 많았다. 연구팀은 태양광발전을 이용해 이런 제약을 해결하기로 했다. 잘 휘어지는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에 나노입자를 코팅한 뒤 여기에 근적외선을 쪼여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 전류가 ... ...
우주 보는 가장 큰 눈 ‘거대마젤란망원경’ 6번째 반사경 제작 착수…2029년 관측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밝혔다. GMT는 지름 25.4m의 차세대 초거대망원경이다. 직경 8.4m 원형 반사경 7장을 벌집
모양
으로 배치해 구경 25.4m의 단일 반사경과 동일한 성능을 갖는다. GMT 가동 예상 시점은 2029년이다. 가동이 시작되면 ‘허블 우주 망원경’보다 10배 선명한 천체 영상 관측이 가능하다. GMTO는 “GMT는 인류 ... ...
타임머신으로 시간 거스르듯, 원자 ‘초흡수’ 현상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마치 타임머신을 타고 과거로 가듯 시간을 역행해야 한다는 점에 착안해 체스판
모양
의 나노 구멍 격자를 이용해 원자의 위상을 주변 빛의 위상과 반대가 되게 만들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원자 10개가 일반 흡수보다 10배 정도 빨리 빛을 100%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빛의 ... ...
옆모습 결정하는 유전자 32개 확인
과학동아
l
2021.03.05
추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 생긴 진화의 산물이라고 설명했다. 뾰족한 코
모양
에 관여하는 VPS13B 유전자 영역도 주목을 받았다. 이 유전자는 생쥐에서도 발견된다. 안드레스 루이즈-리나레스 UCL 생명과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인간이 어떻게 진화했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