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교통"(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모션] 초연결 초지능 사회, 삶이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2017.12.28
- 스마트시티 열풍에 동참했습니다. 폐쇄회로TV 영상을 통해 교통량을 분석하는 ‘스마트 교통 시스템’, 주차 공간을 찾게 돕는 ‘스마트 파킹’, LED 조명을 사용해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CCTV 기능까지 갖춰 보행자의 안전을 돕는 ‘스마트 가로등’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 이 영상은 ... ...
- 제천 화재, 단열재 스티로폼이 ‘플래시 오버’ 앞당겨동아사이언스 l2017.12.22
- 시공 및 관리 실태에 대한 안전감찰 결과 및 부실시공 방지대책' 발표에서 박승기 국토교통부 건축정책관은 “가연성 외장재는 대형 인명 피해의 원인이므로, 강화된 화재안전기준에 대한 현장 집행력 담보가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 건축법령 개정을 추진하는 한편, 안전에 대한 모니터링도 ... ...
- 미술 치료계의 왓슨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2017.12.21
- 생활에 적용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고민하고 연구하는 학자다. 그의 관심 범위는 넓다. 교통사고를 낸 사람이 형을 얼마나 받을 지 예측하는 AI를 개발해 웹에 공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미술 치료를 14년 간 연구한 결과를 묶어 ‘컴퓨터 미술 치료(Computational Art Therapy)’라는 책으로 출간했다. ... ...
- 대덕·광주·대구·부산·전북 등 연구개발특구, ‘규제 프리존’ 된다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대덕·광주·대구·부산·전북 등 5개 연구개발특구가 규제 없이 새로운 기술이나 제품, 서비스를 자유롭게 실증하는 ‘규제 프리존’으로 거듭난다. 연 ... 드론이다. 과기정통부는 내년에 42억 원을 투입해 블록체인 시범사업을 시작하고, 국토교통부는 드론 시범사업에 40억 원을 투입한다 ... ...
- 7년 뒤 한국 바꿀 근미래 기술은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7.12.19
- 수소연료전지차용 스택 리커버리 기술 등이 주목 받았다. 미래의 도시 풍경을 바꿀 교통과 건설 분야의 신기술도 다수 선정됐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과 LS산전은 무선통신 기반의 자율주행 열차제어시스템을 선보여 주목 받았고, 고려대와 중앙대 등이 연구하는 자가치유콘크리트는 금이 간 ... ...
- 1호선 온수역 작업자 사망...국토부-코레일 대책은? 동아사이언스 l2017.12.15
- 한국철도공사(KORAIL)와 공동 개발 중인 이 시스템은 현재 시범 운영 중이다. 국토교통부 서영상 철도안전운행과 주무관은 “올해 말까지 진행하는 시범 운영을 통해 경고음이 울리는 시간이나 방법 등을 최적화하여 내년엔 실제 시스템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카드뉴스]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동아사이언스 l2017.12.13
- 부러움과 열등감을 느끼기 시작하면서부터다. 그러던 어느 날, 수능시험을 앞둔 A가 교통사고를 당해 병원에 입원했다는 이야기를 전해들은 B는 ‘기분이 나쁘지만은 않은’ 묘한 감정을 느끼게 된다. 대다수 사람들은 비슷한 감정을 느껴봤을 겁니다. 독일어에는 타인의 불행에서 느끼는 기쁨을 ... ...
- [2017 다산 컨퍼런스] 뜻밖의 죽음, 위상수학으로 막는다수학동아 l2017.12.02
- 배우 김주혁 씨가 교통 사고로 사망해 충격을 안겼던 사건이 있었다. 당시 김 씨가 운전석에서 괴로워하는 표정을 지었다는 목격자의 증언이나 블랙박스 영상을 바탕으로 사고의 원인이 급작스러운 심장마비였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사람이 많았다. 실제로 심장질환은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 ...
- [초연결 초지능 사회④] 도시의 삶이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스마트 시티 구축을 나선 지역도 있다. 제주도가 대표적이다. 제주도는 특히 에너지와 교통 문제 해결에 4차 산업혁명의 기술들을 도입해 2030년까지 탄소배출 ‘제로’의 섬으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웠다. 1년 간 제주도에서 사용하는 전력 총량이 4.31GW(기가와트) 중 풍력(2.35GW), 태양광(1.4GW) 등 ... ...
- [싱크홀 전쟁] 도심 속 지뢰 싱크홀, 한국은 IoT로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11.30
- 빨간색, 보통인 곳은 노란색, 양호한 곳은 녹색으로 나타난다. 또한 시스템에서는 국토교통부에서 제작한 지하공간 3D지도 정보가 포함돼 있어 지하 매설물 위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지하공간안전관리시스템이 분석한 왕십리역 주변 지하공간 위험 지수. 위험 지수가 높은 곳은 빨간색, 보통인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