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방
전시
계방
개봉
상연
전람
공시
뉴스
"
공개
"(으)로 총 10,4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재사용발사체 개발 경쟁력 있어…충분한 실패도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우주항공청은 하반기에 열리는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한국 재사용 발사체 개발 계획을
공개
한다. 18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한국과학기자협회 주최 ‘2024년 과학기자대회’ '우주청, 재사용발사체 개발 필요할까' 세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국내 재사용발사체 개발 가능성을 ... ...
오류 적은 차세대 양자컴 실현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구현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연구결과는 5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
됐다. 일반적인 자석은 온도가 낮아지면 전자 스핀이 정렬된다. 물이 얼음이 되면서 물 분자들이 정렬되는 것과 비슷하다. 스핀은 전자의 물리량 중 전기적 성질인 전하 외에 특정 방향을 나타내는 고유한 ... ...
'마술 버섯' 속 환각 물질, 정신질환 개선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8
이 뇌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공개
했다. 실로시빈이 포함된 버섯을 섭취한 사람은 시공간과 자기 인식에 대한 감각이 왜곡되는 경험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각제가 뇌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면 과학자나 의사가 치료에 활용하는 ... ...
[과기원NOW] 포스텍-SAIT, 반도체 폐수에서 텅스텐 회수 공정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연구결과는 지난달 20일 국제학술지 'ACS 서스테이너블 케미스트리 앤 엔지니어링'에
공개
됐다. 텅스텐은 반도체, 항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쓰이는 희귀 금속으로 몇몇 국가에서만 채굴돼 폐기물에서 텅스텐을 회수하는 연구가 활발하다. 연구팀은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곰팡이를 사용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교사자격증도 없이 교단에 서는 생성형 인공지능
2024.07.17
'AI 디지털 교과서 추진방안'이 등장했고 8월에는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가이드라인'이
공개
됐다. 그리고 2025년 3월부터 학교 현장에 'AI 디지털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투입된다. 이제 '교육이 국가의 백년대계'라는 인식은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특히 이주호 교육부 장관에게는 그렇다. 실제로 이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에
공개
됐다.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생각만으로 전자기기 등을 작동하는 기술이다. 뇌에 삽입되는 연결 소자는 생체조직과 달리 단단하고 건조해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우려된다. 실제로 뇌에 삽입한 ... ...
전기연·현대기아차 "전기차 충전 오류 해결하겠다"…내년 시험센터 구축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따라 전문가 기술 자문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참여 기업 리스트, 활동은 투명하게
공개
되며 시험 결과물도 동의를 거쳐 다른 기업에 공유된다. 데이터가 쌓이면 제품 품질 개선과 국제표준 기반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남균 KERI 원장은 "네덜란드나 스페인에도 유사한 ... ...
달 거대 구덩이에 동굴 확인…"달 기지로 유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지하 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공개
했다. 마레 트란퀼리타티스는 1969년 인류가 최초로 발을 디딘 지역이다. 현재까지 달 표면에는 200개 이상의 구덩이가 발견됐고 일부 구덩이에서는 과거 달 용암이 땅을 파 동굴이 형성됐을 것으로 ... ...
"가축·음식 통한 감염 가장 많아"…'인수공통감염병 지도'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상호 관계를 밝혀내고 연구결과를 1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공개
했다. 인간과 동물 간 감염되는 인수공통감염병은 감염된 동물의 타액·혈액·대소변 등과 직접 접촉하면서 인간에게 감염된다. 물리거나 긁히는 상황 외에도 오염된 물건이나 환경에서 접촉을 통해 간접 ... ...
빛으로 '기억 소멸' 조절…외상후스트레스장애 치료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
됐다. 우리 뇌는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거나 소멸시키기를 반복한다. 이 과정은 뇌의 해마에서 이뤄지며 양성적·음성적 신호가 균형을 맞추며 최적화된다. 양성 조절 인자가 부족하면 기억 형성에 문제가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