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윤택
충만
다량
다수
풍요
부유
거액
d라이브러리
"
풍부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1 나노 고지 달성 위한 베이스캠프, 나노팹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장비, 시설, 인력을 제공한다. 또한 나노팹의 연구원들은 나노공정에 대한 숙련도와
풍부
한 경험을 갖고 있다. 그리고 짧은 시간 안에 사용자의 아이디어가 첨단 나노구조물로 제조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놓고 있다. NNUN은 대학뿐 아니라 나노기술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는 인텔과 같은 ... ...
4 광촉매로 에너지 추가 없이 수소 생산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가시광선은 자외선보다 물 분해 능력은 떨어지지만 햇빛의 40-50%를 차지할 정도로
풍부
하다.지난 2001년 12월 일본 쓰쿠바연구소(일본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아라카와 박사팀은 자연햇빛으로 물을 분해할 수 있는 광촉매를 개발했다고 ‘네이처’에 발표해 세계를 흥분시켰다. 종래의 광촉매는 주로 ... ...
소만한 크기의 쥐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메마른 환경과는 달리 중신세(약 2천4백만년-5백만년 전)에는 쾌적하고 식물들이
풍부
한 지역”이었다며 “이런 환경에서 패터스니 같이 몸집이 커 도망치기 힘든 거대 설치류는 사자 크기의 유대류 고양이 등의 포식동물에 의해 멸종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적지만, 박리(剝離)되기 쉬운 층류경계층(層流境界層)에서 저항이 많고 에너지가
풍부
한 난류경계층으로 변환되어 버핏(buffet ; 경계층의 박리에 의해 생기는 기체의 불규칙한 진동)을 막고 충격파의 발생에 의한 박리를 방지한다 소용돌이 모양의 팔(渦狀腕)이 중심부에서 뻗어나온 은하 중심부는 ... ...
화성이 핏빛으로 물든 사연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사진에도 역시 온통 붉은빛뿐이었다. 화성 표면의 붉은 토양은 바위 속의 철분이 오래 전
풍부
했던 물 때문에 녹슨 후 표면에 노출됐기 때문이라고 많은 과학자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우주 먼지 때문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지난 9월 6일자 영국의 과학주간지 ‘뉴사이언티스트’에 ... ...
2 미생물을 이용해 생산하는 21세기 청정연료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수소를 생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최근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유기성 폐자원이
풍부
한 나라에서 집중적으로 연구되는 기술이다.발효는 고대부터 인류에게 알려져 있던 현상으로, 현재도 과실주와 맥주, 빵, 치즈 등을 만들 때 이용된다.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또는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거의 변화가 없다점토광물의 하나인 몬모릴로나이트 족(族) 중에서 마그네슘이
풍부
한 광물이다 마그네슘의 일부가 알루미늄으로 치환된 것을 알루미니안 사포나이트라고 한다점토상(點土狀)을 이루며 전자현미경하에서는 부정형 박막상(不定形薄膜狀)의 형태를 가진다 미국의 동물학자 E O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교수는“기초과학을 연구하는 것은 예측불가능 한 길을 가는 과정”이라며“상상력이
풍부
한 젊은이들이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의 연구실에는 2명의 박사후 연구원과 2명의 박사과정, 5명의 석사과정 학생들이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크기를 잘 설정해야 해야 한다.창조는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다. 이미
풍부
하게 존재하는 것들을 창의적으로 결합하고 변형하는 것이 창조인 것이다. 피카소는 마네의 작품을 계속해서 모사함으로써 새로운 기법을 자신의 창작 체계에 빌딩블록으로 추가했다. 유전알고리즘에 대한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현생 인류가 아프리카의 더운 기후에 적응한 결과다.인류는 살아남기 위해 먹거리가
풍부
할 때 체지방을 몸에 저장한다. 그런데 지방층은 체열의 발산을 막는다. 따라서 열이 많이 나는 내장이나 근육을 지방층이 덮게 되면 더위에 적응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체열의 발산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