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열쇠
신장
key
방향타
자물쇠
몸집
풍채
d라이브러리
"
키
"(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잠 안자도 끄떡없는 초파리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초파리는 생체반응 시간을 알 수 있는 탈출 실험에서도 정상 파리와 똑같은 속도를 냈다.
키
렐리 교수는 “이 유전자는 포유류와 사람도 갖고 있다”며 “돌연변이 유전자가 만드는 단백질이 인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게 되면 수면이 부족한 사람에게 필요한 각성제를 개발할 수 있을 ... ...
2005 서울모터쇼를 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충돌할 것 같다고 감지할 경우 센서가 팝업 후드와 같은 적절한 안전장치를 작동시
키
는 아우디의 기술과 비슷하다. 사고가 났을때 보행자 피해를 최대한 줄이려는 목적에서 개발됐다.평화발레오는 그동안 독일, 일본 등 해외에 의존해 왔던 듀얼매스플라이휠 기술을 뽐낸다. 엔진에서 발생하는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옷을 입었을 때는 날씬해 보인다. 수직선과 대각선이 합쳐진 옷은 시선이 위로 옮아가
키
가 커 보이고 날씬한 몸매로 보이게 한다.시각정보는 대뇌피질의 여러 부분에 의해 분석된다. 최근의 연구들로 망막의 각 부분이 대뇌 선조피질의 특정 부위와 서로 연결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선조피질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친구들의 도움을 받아도 인정해 주지. 썰렁 홈즈는 어차피 못할 테니까….” 가장
키
가 큰 외계인은?“이런~, 이런…. ‘어린이 과학동아’친구들도 썰렁 홈즈를 닮아서 잘 맞히는군. 그럼 마지막 문제. 이번 문제야말로 정말 맞히기 힘들 거야…. 여기 네개의 외계인 그림자가 있다. 1번 외계인은 벽 ... ...
댐 공사로 망가지는 강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큰 강의 60% 이상, 오세아니아에서는 17%의강이 훼손됐다.미국 콜로라도대 제임스 사이비츠
키
교수팀도 같은 잡지에 댐이 바다로 흘러가는 퇴적물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현상이 계속되면 강 하구에서 토양이 심하게 깎여 바다 생태계에 악영항을 줄 수 있다 ... ...
네안데르탈인 전체 골격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라 페라시 1’ 견본을 기본으로 해서 모두 7가지 화석 견본을 끼워 맞췄다. 그 결과
키
163.8㎝의 네안데르탈인이 복원됐다.말리 교수는 “지난 150여년간 네안데르탈인의 실체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에도 전체 골격을 엄밀히 재구성하려는 시도가 없었다”며 “복원 결과 네안데르탈인의 자세에 ... ...
다이어트로 인체는 깍쟁이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열량이 높은 밥을 많이 먹게 돼 체중조절이 어려울 뿐 아니라 체내에서 염분을 희석시
키
기 위해 수분을 내보내지 않아 몸이 붓기 쉽기 때문이다.그러나 실제로 지방을 완전히 없애는 식품은 없다. 박용우 교수는 “운동하지 않고 먹는 것만으로는 근본적인 다이어트가 불가능하다”고 일축한다. ... ...
3. 디자인이 매뉴얼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다”며 “생활의 불편함을 개선하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획기적인 디자인을 탄생시
키
는 밑바탕”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디자인이 기술을 리드한다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2. 디자인의 진화심리학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3. 디자인이 매뉴얼 4. 디자인은 배려다 5.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0.8∼0.9%의 염분이 있다. 콘택트렌즈용 식염수의 염분 함량도 이와 비슷하다. 건조, 농축시
키
지 않은 습윤 상태의 음식물쓰레기에는 보통 0.5∼0.8%의 염분이 들어있다고 한다.습식 사료화의 경우 이를 그대로 또는 물을 타서 이용하고, 건식 사료화의 경우 다른 사료에 소량 섞어 이용하기 때문에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상태인 것이 많을수록, 또 그 중 인산기가 떨어져 있는 형태가 많을수록 화학반응을 일으
키
는 중간물질과 좀더 잘 결합한다. 그러면 빛을 좀더 많이 받아들일 수 있고, 빛을 이용한 화학반응도 더욱 활발히 일어나게 된다.남홍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사람 눈의 홍채나 카메라 렌즈의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