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은하는 몇 개의 왜소은하가 뭉쳐 만들어졌을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작은 레고 블록들이 쌓여 거대한 작품이 완성되듯, 우리은하의 100분의 1, 1000분의 1 크기에 불과한 작은 왜소은하들이 병합돼 오늘날의 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왜소은하가 초기 은하의 상태를 그대로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인 셈입니다. 왜소은하 연구는 갈수록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만6000W의 막대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한다. 반면 이세돌 9단의 뇌는 주먹 두 개 정도의 크기(심지어 그중 일부만 사용한다)로 시간당 20W의 에너지를 소비했다. 만약 인간의 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어떨까. 사실 이때 이미 인간 뇌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신개념 메모리로 ... ...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두가 만족하는 공평한 분배는 각 조각이 정확히 같은 크기거나 무게일 때가 아닌 모두가 ‘질투하지 않는 분배’가 이뤄진 상태로 정의한다. 케이크 공평하게 나누기에는 다양한 해법이 있는데, 수는 여러 방법 중 ‘단체’에 관한 ‘슈페르너의 보조정리’를 ... ...
- 스타워즈 통신수단, 홀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기존 연구들과 달리, 픽셀을 수직 방향으로 쌓는 발상의 전환을 했어요. 이를 통해 픽셀 크기를 줄이고 픽셀 사이의 간격도 0.001mm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최지훈 연구원은 “홀로그램의 가능성은 상상 이상”이라며 “홀로그램 연구가 다른 산업의 발전을 이끌 수 있다”고 ...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과학동아 l2020년 03호
- 240배로 늘어나는 셈이다. 이렇게 늘어난 유전자는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염색한 뒤 크기별로 분류한다. 이 과정까지 완료하는 데는 약 6시간이 걸린다. 최 연구관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해 인간을 감염시키는 코로나바이러스 7종은 모두 이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며 “다만 양성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다시 성으로 들어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질병의 원인이 되는 건 비슷하지만, 바이러스와 세균은 엄연히 달라요. 먼저 바이러스는 크기가 수십~수백 nm(나노미터, 1nm은 10억 분의 1m) 정도예요. 보통 광학 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작지요. 또 바이러스는 혼자서 살 수 없어요. 다른 생물이 있어야만 그 세포에 붙어 영양분을 얻고,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뤄져 있습니다. 숙주세포에서 합성된 바이러스 단백질은 프로테아제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잘리면서 활성화됩니다. 그리고 유전체와 함께 조립돼 바이러스가 만들어집니다. 바이러스가 증식하는 것이죠. 그런데 칼레트라의 두 성분이 프로테아제의 작용을 막고, 결과적으로 바이러스의 증식이 ... ...
- 오리온의 겨드랑이 별 '베텔게우스' 에 대한 궁금증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겨드랑이 밑’이라는 뜻), 지구에서 약 600~700광년 거리에 있는 변광성이다. 우리은하의 크기가 14만 광년임을 고려하면 지구의 ‘이웃’ 별인 셈이다. 베텔게우스는 한때 항성 밝기 순위가 7위인 밝은 별이었다. 안시등급 값을 평소 0.6 내외로 유지해왔다. 그런데 지난해 10월부터 급격히 빛을 ... ...
- [퀀텀닷 완전정복] 진정한 삼원색 만드는 건 퀀텀닷 뿐이라는데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내지만, 결정물질은 여러 종류의 파장의 빛을 낸다. 퀀텀닷의 삼원색 표현. 퀀텀닷은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아 특정 에너지 준위를 가지는 반면, 기존 디스플레이의 발광물질은 원자보다 큰 결정물질이어서 에너지 밴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퀀텀닷 디스플레이는 삼원색인 빨간색(630nm), ... ...
- [DGIST] 신형 나노입자로 비정상 세포 정조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Approaches to ceLL Lab)’ 얘기다. 작은 실험실에서는 10~1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인 세포보다 1000배가량 더 작은 나노입자를 합성해 세포의 단백질 정보를 찾아내고 있다. 세포 하나를 치료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다. 나노입자로 세포 조종살아있는 세포는 끊임없이 주변과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