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497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설의 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등부표를 설치해 국제적으로 이를 공포하고 이곳을 지나는 수많은 선박들의 항해
지표
로서 그 역할과 임무를 수행해 오고 있다.이와 같은 등부표는 태풍 등 자연력에 의해 자주 이탈 유실돼 매번 재설치하고 있다. 잦은 유실로 지친 해운항만청은 부이식 항로 표지 대신에 고정 구조물에 의한 등대의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바람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쪽으로 등압선에 대해 오른쪽으로 기울어진 채로 불게 되는데,
지표
면의 영향이 클수록 그 각은 커서 육상에서는 20-35˚, 해상에서는 15-20˚가 된다.일기예보를 하기 시작한 지 1백 50여 년이 지난 현재에도 우리는 아직 정확한 일기예보를 하고 있지 못하다. 기상위성을 통한 ... ...
금성탐사선 마젤란 5년활동 마치고 최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탑재됐는데 해상도는 1백20x1백20m. 마젤란은 3시간9분마다 금성을 한바퀴씩 돌면서
지표
면 측정을 실시했다. 마치 큰 공의 표면 전체를 굵은 실로 둘러가듯 금성이 한바퀴 자전하는 동안(지구일로 2백43일) 금성 표면 전체를 둘러나간 것이다. 91년 봄 1회 측정을 마쳤을 때 금성 표면 지도의 84%가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하는데, 광합성 작용에 의해 유기물을 생산하며 또한 수질 및 영양단계 및 판정에 중요한
지표
로 활용된다. 현재 한강에 출현하는 식물 플랑크톤은 1백45종으로 조사됐으며 이는 1990년 조사시의 출현종인 1백79종과 비교하면 약간 감소된 것이다. 식물 플랑크톤은 광합성해 수중에 용존산소를 ... ...
보통카메라로 천체 사진 찍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우리가 별사진을 찍기 위한 필름 선택시 고려 사항은 필름의 감도이다. 감도를 나타내는
지표
는 ASA수로서 평상시 인물 사진을 찍기 위해 사용되는 필름은 ASA 100이다. 필림의 감도는 ASA 숫자가 클수록 크고 작을수록 작다. 감도가 크다는 의미는 적은 양의 빛으로도 쉽게 감광된다는 것으로서 감도가 ... ...
다이아몬드, 한반도서 나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있을 수 있다. 그중 몇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우선 이들 초고압 변성광물이
지표
로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변성작용을 받아 흑연이나 석영으로 완전히 다시 변했을 가능성이다.그 다음으로 한반도는 충돌시기 이후인 쥐라기와 백악기 동안에 판의 경계부에 위치하면서 많은 화성활동을 받은 ... ...
지구과학-
지표
근처암석 75% 퇴적암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암석물의 풍화생성물 퇴적암 지하 16km까지의 지각에는 95% 이상이 화성암이지만
지표
근처에는 75% 정도가 퇴적암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는 선캄브리아대의 변성암류와 고생대 중생대에 걸친 심성암이 대부분이어서 전형적인 퇴적암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다(사진4). 퇴적암은 퇴적물이 운반돼 ... ...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수송시스템을 확보하느냐는 문제다. 달의 진공환경과 1/6중력에다 모래로 뒤덮인 평탄한
지표
를 가진 달표면에 어떤 수송시스템이 유리하느냐는 점이다.달의 인력권으로부터 우주선이 탈출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지구의 약 4.5%. 고도상승에 따른 중력감소까지 고려하면 4.0%까지 떨어진다. 같은 ... ...
쓰레기 재생의 과학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공업지대를 통과하면 상당히 오염되게 마련. 아무리 완벽하게 하수를 처리한다 할지라도
지표
수를 그대로 상수로 이용하는 데는 거부감이 생긴다. 앞으로 점차 지하수를 상수원으로 이용할 것인데, 폐기물 매립장은 이와 같은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요인이 된다.한편 폐기물을 소각하면 보기 싫은 ... ...
지구과학- 생물탄생 이래 불변-대기온도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생각해 보기] 지구의 나이는 46억년이다. 태양복사에너지가 변함이 없다면 지구탄생 이래
지표
면이 받은 태양복사에너지의 총량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 보자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