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심"(으)로 총 5,9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지구 속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올라가기 때문이에요.외핵이 있는 3000km까지 내려가면 온도는 4000℃까지 올라요. 내핵의 중심부까지 들어가면 온도는 6000℃가 되지요. 이는 태양의 표면과 비슷한 온도로, 지금의 기술력으론 이런 열을 견디는 장비를 만들 수 없답니다.압력도 만만치 않아요. 맨틀에서 받는 압력은 140만 기압이고, ... ...
- 세상에 단 하나뿐인 온라인 정육점 정육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고기에서 느끼는 맛을 극대화하는 게 목표다. 이윤만 많이 남기면 된다는 생산자 중심의 판매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합리적인 가격과 맛, 안전, 신선함 등을 추구하는 것이다. 김 대표는 “축산업은 엄청 복잡하고, 오랫동안 변화가 없었기 때문에 아무도 혁신하려고 하지 않는다”며, “우리가 할 수 ... ...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관측해 질량 분포를 알아낸 결과, 우리가 아는 일반물질의 질량중심과 총질량의 질량중심이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 두 은하단이 충돌하는 동안 한 은하단의 어떤 물질은 다른 은하단의 모든 개체를 상대적으로 쉽게 통과했어야 했다. 수정뉴턴역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었다.암흑물질은 ... ...
- [Photo] 탄자나이트(Tanzanite) 떠오르는 탄자니아의 희망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풍부한 광물 자원을 기간산업으로 육성하고 있다. 국가 브랜드인 '탄자나이트'를 중심으로 탄자니아 태생의 많은 보석들이 세계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 중국에서도 탄잔아이트의 인기가 치솟고 있어 가격도 많이 올랐다. 탄자니아가 이런 천혜의 자연 자원을 잘 활용해 가난의 굴레를 벗고 ...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에서는 주로 혈연 사이의 이타성이 어떻게 형성됐는지를 중심으로 현대 진화론의 형성 과정을 살펴봤다. 시즌 2에서는 여러 가지 세부 주제들을 탐구한다. 먼저 비친족간 상호성이다. 가족도 친척도 아닌 생판 ‘남’을 우리는 왜 서로 돕고 있을까.여러분은 오늘 혼자 목욕탕에 왔다. 열심히 때를 ... ...
- Part 5. 핵에서 찾은 시간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때를 상상해 볼까요?가장 먼저 우주의 먼지들이 뭉쳐져 핵이 만들어지고, 다시 핵을 중심으로 먼지와 운석이 뭉쳐지며 지구가 탄생했을 거예요. 즉,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물질은 핵인 거죠. 그런데 1962년, 미국의 유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이 자신의 물리학 강의에서 다소 엉뚱한 얘기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지나는 직선을 그으면 2등분이 된답니다. 이 직선과 방안자의 눈금을 일치시킨 채로 원의 중심을 지나는 직선을 그리면, 두 직선이 수직이 되면서 원을 4등분하게 되죠. 8등분 선은 이 4등분선을 45°로 나누면 돼요. 방안자의 작은 사각형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앞서 그린 4등분선이 이 작은 사각형을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과 같은 연구기관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구글은 ‘메이킹&사이언스 이니셔티브’ 팀을 중심으로 구글의 메이커들이 만든 프로젝트를 전시했다. 또 관람객들이 직접 납땜을 배워 간단한 LED 회로를 만드는 워크숍을 열었다. 인텔은 자체 생산하는 에디슨 컴퓨터 모듈과 아두이노 보드를 전시하고, ... ...
- Part 2. 암흑에너지 없이 가속팽창 설명하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억 광년 이상의 규모부터 균일하다고 주장한다.방법은 이렇다. 탐사 영역 안의 한 은하를 중심으로 특정 반지름의 구를 정한다. 그리고 구 안의 은하들을 센다. 이를 균일한 분포에서 예측되는 개수로 나눈다(상대개수비). 이때 균일한 분포란, 구가 커질수록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해 은하 개수가 ... ...
- [Culture] 미래사회에도 인간이 필요할까요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처음이고 세계적으로도 사례가 많지 않다. 앞서 언급한 작품은 홍콩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뉴미디어아트의 선구자 모리스 베나윤이 토비아스 클랭, 장 밥티스트 바리에 작가와 공동으로 작업한 ‘브레인 팩토리’라는 프로젝트다. 헤드셋은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